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요동치는 뉴욕증시 국제유가 "운명의 한 주" 길리어드 코로나치료제 임상 발표… 클로로퀸 럼데시비르 비상

공유
4

요동치는 뉴욕증시 국제유가 "운명의 한 주" 길리어드 코로나치료제 임상 발표… 클로로퀸 럼데시비르 비상

뉴욕증시 모습 사진=뉴시스 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 모습 사진=뉴시스
뉴욕증시 국제유가 "운명의 한 주" 길리어드 코로나치료제 임상 이번 주 발표… 클로로퀸 럼데시비르 비상

미국 뉴욕증시와 국제유가 그리고 코스피 코스닥 국제금값 등이 연일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운명의 한 주를 맞았다. 미국 뉴욕증시와 국제유가는 코로나19 상황속에 호재와 악재가 번갈아 터지면서 급등과 급락을 반복해왔다. 코로나 치료제로 기대를 모아왔던 미국 제약업체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가 과연 제대로 된 코로나 치료제로 이어질 것인가는 이번주에도 욕증시와 국제유가 그리고 코스피 코스닥 국제 금값 등을 좌우하는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가 임상시험에서 효과를 보지 못했다는 측과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곧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 임상 성공 결과를 내놓을 것이라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한국시간 27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이번주에는 OPEC의 감산이 공식으로 시작됐다. 감산속에 따라 국제유가가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또 미국의 1분기 성장률, 애플과 엑손모빌 등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경기 진단등이 주목된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에서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코로나19로 봉쇄조치로 1분기 성장률도 타격이 불가피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충격이 예상보다 더 크다면 뉴욕증시등에는 악재가 될 수 있다. 뉴욕증시에서는 미국 1분기 GDP를 - 3.5% 내외로 보고있다. 2분기 성장률은 마이너스 30% 이상이 전망되고 있다. 미국의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도 중요하다.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이번주에는 325만 명 내외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준 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도 주목을 끈다. 제롬 파월 의장이 내놓을 경기 진단 등이 관심이다. 일본은행(BOJ)과 유럽중앙은행(ECB)도 이번 주 통화정책 회의를 연다. 코로나19 치료제에도 이목이 쏠려 있다. 길리어드는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렘데시비르 임상시험 결과를 이 번 주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에서 실시된 임상이 실패했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초기 보고서가 알려진 이후 우려가 커졌다. 미국 조지아와 텍사스 등 미국의 일부 주에서 경제 부분 재개가 시작됐다. 그런만큼 코로나19 재확산 여부가 관심이다.

뉴욕증시에 영향을 줄 이번 주 주요 발표 및 연설 일정으로는 4월27일 댈러스 연은 제조업지수, 4월28일 소비자신뢰지수와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 지수가 발표된다. 알파벳과 캐터필러, 화이자 등의 실적 발표 그리고 4월29일 FOMC 결과와 1분기 GDP 그리고 잠정주택판매 등이 있다. 보잉과 MS, 페이스북, 테슬라 등이 실적도 이날 나온다. 4월30일에는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 3월 개인소비지출 및 개인소득, 4월 시카고 PMI 그리고 애플과 아마존, 길리어드 등의 실적이 나온다. 5월 1일에는 ISM 및 마킷의 4월 제조업 PMI와 3월 건설지출 등이 발표된다. 엑손모빌과 셰브런이 실적을 이날 공개한다.

지난 주말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가 260.01포인트(1.11%) 상승한 23,775.27에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8.94포인트(1.39%) 오른 2,836.74에 끝났다. 나스닥 지수는 139.77포인트(1.65%) 오른 8,634.52에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이번 주 한주동안 1.93% 내렸다. S&P 500 지수는 1.32% 그리고 나스닥은 0.18% 각각 하락했다.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13.17% 하락한 35.93이다.

대폭락을 거듭했던 국제유가는 지난주 후반 사흘 연속으로 올랐다. 미국과 쿠웨이트등에서 감산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기대감으로 급반등하는 'V자형 곡선'을 그렸다. 지난 주말 뉴욕 상업거래소(NYMEX)에서 6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2.7%(0.44달러) 상승한 16.94달러에 마쳤다. 주간으로는 32% 낙폭을 기록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물 국제금값는 1.735.60달러에 마쳤다. 주간 기준 2.2% 올랐다.

한국 증시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식을 팔아치우면서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시가총액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13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24일 종가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코스피 주식 시가총액은 468조1744억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36.83%로 줄었다. 지난해 3월 20일(36.69%) 이후 13개월 만의 최저치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증시에서 주식을 파는 것은 현금 확보 차원으로 보인다. 한국 시장을 특히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도 외국인 순매수를 가로막는 원인이다.
지난 주말인 24일 코스피는 25.72포인트(1.34%) 내린 1,889.01로 마감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임상 관련 논란으로 경제 활동 재개 시점이 늦춰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투자심리가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005930](-1.00%) SK하이닉스[000660](-1.45%)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1.66%) LG화학[051910](-2.08%), 현대차[005380](-2.49%) 등이 내렸다. 네이버[035420](1.32%)는 올랐다. 코스닥지수는 10.83포인트(1.68%) 내린 632.96으로 종료했다.에이치엘비[028300](-2.05%)와 펄어비스[263750](-2.00%), 케이엠더블유[032500](-3.74%), 스튜디오드래곤[253450](-3.21%) 등이 내렸다.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1.19%)는 올랐다.

뉴욕증시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보건 위기 속에 '약장수' 노릇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뉴욕타임스(NYT)는 대통령이 말라리아 치료제인 클로로퀸과 하이드로클로로퀸의 효능을 호평한 이후 처방된 클로로퀸과 하이드로클로로퀸의 규모는 평일 평균보다 무려 46배나 높게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류머티즘, 심질환, 피부병, 정신질환뿐만 아니라 심지어 족병 전문의까지 의료 전 부문에 걸쳐 그날 거의 3만2천건 정도에 달하는 클로로퀸, 하이드로클로로퀸 처방을 마구 쏟아냈다. 미국 FDA는 하이드록시클로로퀸, 클로로퀸에 심각한 부작용 가능성이 있다며 병원이나 임상 시험에서만 쓰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에도 무허가 '약장수'와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주제를 바꿔 계속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한 브리핑에서 표백제와 살균제가 바이러스를 없앤다는 연구 결과에 흥미를 보이며 살균제를 인체에 주사하거나 폐에 흡입하도록 하는 방안을 불쑥 거론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살균제를 부적절하게 사용해선 안 된다고 트위터로 대중에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기 발언이 농담이었다고 나중에 항변했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미 공영라디오 NPR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TV에 돌팔이 약장수가 나온 것 같다고 비판했다.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2012년 메르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바이러스 감염병 진단과 치료를 위한 국내 제약업계의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진단 시약, 백신, 치료제 등과 관련한 상표 출원이 크게 늘었다. 특허청에 따르면 연평균 150건 이상이 출원되고 있다. 2015년 이전 바이러스 진단·치료제 관련 상표출원 비율을 보면 진단 키트가 99건(76%)으로, 치료제 31건(24%)보다 많았다. 그러다가 2016년 이후에는 치료제가 379건(59%)으로, 진단 시약 260건(41%)보다 많아졌다. 치료제 관련 상표 출원 증가는 진단보다는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이 근본적인 해결책인 데다, 보통 치료제 개발에 오랜 기간이 걸린다는 점에서 미리 출원해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기업별로는 종근당이 41건으로 가장 많았고 씨엘바이오(36건), 알바이오(33건), 셀트리온(28건) 순이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