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자초 알코올에 담그면 붉은 빛으로 곱게 우러나

공유
0

자초 알코올에 담그면 붉은 빛으로 곱게 우러나

[염장 김정화의 전통염색이야기(48)] 자색(Ⅴ)

십 수 년 전, 자초보라로 농담(濃淡)을 달리하여 물들인 옷을 입고 독일과 이태리를 다녀온 적이 있다. 동행을 한 교포 김 선생이 독일인들은 마주 걸어오는 사람에게 결례가 될까 먼눈으로만 살짝 본다고 말했다.

그랬던 김 선생이 여행길 내내 스쳐 지나는 사람마다 필자를 뒤돌아본다며 의아해 했다. “내가 너무나 동양적인 사람이라 그래”라고 지나쳤다. 이태리를 갔다. 이태리인들은 독일인들과 정반대였다. 한참 떨어진 곳에서부터 싱글싱글 눈인사를 하더니 필자를 잡고 “이 옷 네가 만들었냐?”, 그리고 카페에선 아예 옆자리로 와서 “이 천은 어디에서 생산된 거냐? 색 느낌이 특이하고 특별해!”
그들의 정확한 질문에 대충대답하면 아니 될 듯하여 “이것은 한국의 전통염색이고, 자초라는 풀의 뿌리에서 나온 염료로 60번 물들인 실크다”라고 했더니 그 커다란 눈이 마치 구슬처럼 금방 굴러 나올 듯했다. 만날 때마다 필자에게 저리 못생겼으면서도 지가 못생긴 줄을 모른다는 말을 입에 달고 있던 김 선생이, 그 못생긴 필자가 만든 지치보라 덕에 우쭐하는 꼴을 보고 배를 잡았던 기억이 난다.

알코올 추출법을 소개한 앞글은 필자가 채록을 다닐 때 들었던 이야기로 지금에 와서도 가장 손쉽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 색소추출법으로 색소를 얻는 방법은 진도홍주가 그 대표적인 예로, 소량의 자초를 알코올에 담그면 붉은 빛으로 곱게 우러나서 발그레한 색이 된다.

경북 영천 죽전리의 노인에게 들은 자초염색법은 자초를 맑은 술에 담가 붉은색이 우러나면 미지근한 물에 희석하여 물들였다고 했다. 맑은 술은 먹기도 귀한 것이어서 많은 량은 할 수가 없었고 댕기나 깃에 달 명주 베를 물들이는 정도였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염색한 명주 베는 반드시 백반에 담갔는데 매염이란 용어를 쓰지 않는 노인들에게서 매염법을 들었을 때 다소 흥분한 기억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상방정례』, 『계림지』, 『규합총서』, 『임원경제지』 등에 자초염색법이 전해지고 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인터넷 검색으로 국역이 된 염색법 전문을 손쉽게 볼 수 있으므로 이 글에서는 필자의 경험을 적고자 한다. 옛글에 적혀있는 방법대로 자초염색을 하면 색이 잘 들지 않는다. 생 자초 뿌리를 가볍게 씻어 미지근한 물에 몇 시간 우려내어 염색하면 그런대로 물이 드는 듯하지만 염료에서 꺼내면 색이 곱지 않다. 적색이나 검정색 등 일반적인 염료는 정련한 직물을 별다른 처리 없이 염색을 하고 매염처리를 하나, 자초 자색만은 매염제로 전처리를 하지 않으면 염액의 농도가 짙어도 직물에 잘 스며들지 않는다.

자초염색을 할 직물은 반드시 먼저 명반으로 매염을 하고 난 뒤 염색을 해야 색이 들여진다. 즉 선매염법(先媒染)이 적용되는 것이다. 여러 번 염색하는 직물은 매염처리를 하고 다시 덧 염색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두 번째부터는 자동적으로 선매염 상태가 된다. 명반은 알미늄 화합물인데 옛 기록들에 언급된 노린재나무나 동백나무의 재를 쓴다는 것도 재속에 들어있는 알루미늄 성분을 이용한 것이다.

염색횟수만큼 명반매염 횟수도 늘어나므로 처음 몇 차례 이후에는 명반의 량을 줄여서 매염처리를 하고 염색을 끝낸 다음에는 많은 물에 푹 담가 오랜 시간 우려내어 헹군다. 아무튼 선매염을 하지 않은 채로 자초 물을 들이면 언제나 실망스럽지만 선매염을 하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염색법이다. 특히 「개오기」를 할 만큼 염색된 어미 직물은 색상이 깊고 진하며, 개오기 법으로 염색된 맑고 밝은 분홍, 연보라 빛의 베는 견뢰도가 뛰어나서 「어미와 개오기」의 배색느낌이 아주 좋다.

/글로벌이코노믹 김정화 전통염색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