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는 중국에 ‘위협’이자 ‘기회’…G2 리스크 가시화

공유
0

트럼프는 중국에 ‘위협’이자 ‘기회’…G2 리스크 가시화

사진=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DB이미지 확대보기
사진=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DB
[글로벌이코노믹 이동화 기자] 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세계 경제를 이끄는 두 경제대국 미국과 중국의 ‘G2 리스크’가 가시화되고 있다. 대선 유세 중 제시한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중국산 수입품 45% 관세 부과’ 공약 때문이다.

양국의 무역마찰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한국을 비롯해 수출 위주의 산업구조를 가진 국가들은 실물경제 침체 등 우려가 쏟아지고 있지만 중국에서는 트럼프 당선이 ‘경제적 위협이자 지정학적 기회’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트럼프 당선 이후 각지에서 ‘트럼프 반대 시위’가 잇따르고 있는 상황을 놓고 정계 전문가들은 “중국 입장에서는 미국 정치권의 이 같은 혼란이 달가울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당선으로 사회적 분단이 발발하고 있지만 중국 지도부는 그 어느 때보다 안정적 상황이기 때문이다.

즉, 국제 사회에서 위상을 높이고 싶은 중국에 미국 정부의 혼란과 혼돈은 ‘기회’라는 것이다.

◇ 트럼프 고관세 부과 시 GE·보잉·애플 퇴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 미국이 추진 중이던 각종 무역협정을 폐기하거나 재협상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는 트럼프는 우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을 선언했다. 취임 후 200일 이내에 NAFTA 탈퇴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알려지며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에도 비상이 걸린 상태다.

트럼프 정권은 멕시코와 중국에 각각 35%와 45%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법인세율을 현행 35%에서 15%로 인하해 무역자유화로 수입된 값싼 외국 제품이 미국의 제조업과 고용을 위축시키고 미국 기업들이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기 위해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에 생산 공장을 건설하는 것을 막겠다는 계획이다.

중국 국영방송들은 트럼프가 중국에 45%의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는 공약을 발표했을 때도 그를 ‘위협적’인 존재가 아니라며 대응하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은 “중국이 두려워해야 하는 존재는 트럼프가 아니라 트럼프를 당선시킨 ‘포퓰리스트’(Populist)”라고 지적했다. 자신의 일자리를 중국인이 뺏는다고 생각하는 백인 노동자층의 분노가 극에 달했다는 것. 특히 트럼프가 내년 1월 취임하면 중국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됐던 글로벌화에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렇게 미국과 중국의 관계에 팽팽한 긴장감이 맴돌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정권이 중국에 고관세를 부과한다는 공약을 실행에 옮기면 중국 역시 보복을 감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먼저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제너럴일렉트릭(GE)이나 보잉, 애플 등 중국에서 수익을 올리고 있는 미국 기업들이다.

◇ 글로벌 무역질서 새 판 짜는 시진핑
지난 19일부터 페루 리마에서 열린 제24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아·태 지역은 보호무역주의의 도전과 무역 성장 정체에 직면해 있다”며 “배타적인 무역 협정은 옳은 선택이 아니다”라고 트럼프 정권의 보호무역주의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인민망에 따르면 시 주석은 “모든 국가가 함께 협력해 우호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거시 경제적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합심해야 한다”면서 “경제 글로벌화와 아·태 지역의 장기적 번영을 위해 아시아·태평양자유무역지대(FTAAP) 설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시 주석은 APEC 정상회의와 별도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FTAAP 설립을 위해 중국과 러시아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등 미국을 대신해 새 무역질서 짜기에 나섰다는 평가다.

이와 관련, 국제통화기금(IMF) 관계자는 “중국은 더욱 크고 강력한 존재가 됐다”며 “미국이 중국의 이익에 영향을 주는 ‘위협’을 발휘하는 것은 통용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트럼프 정권이 중국의 무역 환경에 큰 타격을 주기는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무역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권의 대중국 경제정책으로 무역적자가 발생할 경우 궁지에 몰린 중국은 미국에 보복을 감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면서도 “아마 중국은 선수를 치기보다는 문제가 발생한 후 대응하는 방향을 선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동화 기자 dh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