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정권 출범 후 변모한 세계…탐색전 끝낸 미·중 갈등 풀리나

공유
0

트럼프 정권 출범 후 변모한 세계…탐색전 끝낸 미·중 갈등 풀리나

對트럼프 우수답안 제출한 일본…G2 무역전쟁 위기설 ‘봄’ 맞아

지난 10일 미일 정상회담이 완료된 가운데 이제 국제 사회의 관심은 G2(미국·중국)의 팽팽한 힘겨루기에 집중되고 있다 /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10일 미일 정상회담이 완료된 가운데 이제 국제 사회의 관심은 G2(미국·중국)의 팽팽한 힘겨루기에 집중되고 있다 / 사진=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이동화 기자]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지지율이 60%를 넘어섰다. 교도통신 전화 여론조사 결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직후 아베 내각 지지율은 61.7%로 전월 조사 때보다 2.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의 70.2%는 미일 정상회담에 대해 ‘좋았다’고 평가해 아베 총리에 대한 신뢰도가 압도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된 미일 정상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을 대하는 우수답안’이라 할 수 있다. 내줄 것은 내주고 취할 것은 취하는, 말 그대로 ‘실리 외교’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구하는 경제·외교 정책이 어느 정도 드러난 상황에서 이제 국제 사회의 관심은 G2(미국·중국)의 팽팽한 힘겨루기에 집중되고 있다.

◇ 첫 번째보다 나은 두 번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이하 현지시간)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와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을 했다. 양국은 유대관계 강화와 협력 강화를 약속했지만 ‘거기까지’였다. 오히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합병 등 국제적 문제에 대해서는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기도 했다.

성과를 얻었다고 하면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에 대한 지지를 끌어냈다는 정도다.

하지만 일본은 달랐다. 일본은 미국에게 일부 경제를 내주고 안보를 얻어냈다. 우려됐던 방위비 분담금 문제와 환율조작도 거론되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70억 달러(약 8조500억원)의 통 큰 투자를 통해 미국에 70만 개의 일자리를 선사했다. 대신 양국의 동맹관계를 강조하면서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는 센카쿠열도에 대한 미·일 안전보장조약 제5조 적용대상 확인 ▲미일 동맹에서 일본의 책무 확대 ▲자유·공정무역을 위한 규칙에 기초한 경제관계 강화 ▲미일 양자 무역협정 논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자국의 이익을 위해 일정부분 양보하고 추가적으로 얻어낼 것은 충분히 얻어낸 셈이다.

◇ 트럼프 정권 출범 후 변모하는 세계 각국
트럼프 정권이 출범한 지 채 한 달이 지나지 않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미국과의 대립이나 동맹 강화를 통해 지지율을 높이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공통점은 “최악의 사태는 우선 피하자”는 반응이다. 일정 부분 받아들이는 듯한 제스처를 취하면서 자국으로 날라드는 화살을 피하자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유럽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초기 민족주의와 반(反)이민 정당 지지율이 올랐지만 최근에는 트럼프 정책에 반대하는 중도성향 정치인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

특히 독일에서는 反트럼프 성향의 사회민주당(SPD)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향후 미국과의 관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프랑스에서도 극우정당 국민전선(FN)의 마린 르펜이 약 25%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다.

중동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대이란 강경 자세’에 대한 입장이 갈리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수니파 국가들은 지지를 표명한 반면 이라크에서는 ‘反이민’ 행정명령 영향으로 강한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일본도 트럼프 대통령의 환율 공격에도 불구하고 가급적 갈등을 피하며 미국 정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해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시각은 다르다. 지난 2일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이 취임 후 첫 순방지로 한국과 일본을 선택하자 일본 석간 후지는 “중국이 군사적 도발을 할 수 있는 상황에서 미·중 충돌에 대비한 ‘비밀 회담’이 목적일 수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게 정상회담을 열고 싶다는 뜻을 전한 데 이어 두 정상이 첫 전화통화를 하면서 양국 관계에 개선 조짐이 보인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 첨예한 갈등 빚는 미중 관계…실타래 풀리나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꿈꾸는 시 주석과 ‘미국우선주의’를 주장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팽팽한 힘겨루기는 조금씩 합의점을 찾고 있는 듯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에서 승리한 후 ‘하나의 중국’에 왜 얽매여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중국 정부가 내세우는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국의 대응에 달렸다”고 중국 압박을 시사하는 메시지를 띄웠다. 하지만 지난 10일 “하나의 중국을 존중하겠다. 정상회담을 하자”며 돌연 입장을 바꿨다.

주요 외신들은 장기간 중국의 통화가치 절하에 불만을 표출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이 원하는 경쟁여건 조성을 위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우선 인정한다는 원칙을 교환한 것으로 보인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WSJ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직접 자극하지 않으면서 실리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모색 중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세계 2위 경제대국인 중국과의 정면대결을 피하면서 미국에 유리한 통상·외환 정책을 취하겠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무시한 것, 그리고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과 중국산 제품에 대해 4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것을 고려한다면 지금이라도 정상회담이 성사되는 것은 의미가 작지 않다.

하지만 미국의 번영을 위해, 더 나은 조건을 위해 상대국을 뒤흔드는 트럼프 대통령의 독불장군 행보에 국제 사회는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이동화 기자 dh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