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도시재생=강남재건축’ 인식 팽배… 부동산 정책 기조와 엇갈린 시장

공유
1

‘도시재생=강남재건축’ 인식 팽배… 부동산 정책 기조와 엇갈린 시장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윤정남 기자] 최근 부동산 가격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고공행진을 거듭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와는 정반대 양상으로 보이고 있다.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는 부양보다는 주거 안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아파트 값이 상승하고 분양 시장도 활기를 띠는 등 다소 과열되고 있다는 것.
이에 따라 새 정부 부동산 정책 기조와 엇갈린 시장 상황을 뜯어봤다.

◇‘도시재생=강남재건축’ 인식 팽배


6일 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아파트 가격 상승률을 따져보면 서울이 가장 많이 상승했다. 지난달 26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30%가 올랐고, 강동구 아파트값은 무려 1.28%가 상승했다. 특히 가격 상승을 주도하는 곳은 내년부터 시행되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한 재건축 아파트들이다.

새 정부는 임대주택을 많이 세우기 위해 대규모 택지개발을 통해 아파트를 짓는 방식이 아니라 도시재생을 내세우고 있다. 도시재생은 아파트를 새로 짓는 게 아니라 위치별로 기존 주택을 리모델링하는 사업이다, 이를 시장은 ‘도시재생=강남재건축’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강남지역에 당분간 신규 아파트 공급은 줄어드는 게 아니냐는 기대감으로 이어지면서 문재인 정부의 주거정책 공약이 오히려 시장에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되고 있는 셈이다.

◇저금리는 ‘갭투자’ 디딤돌(?)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뚜렷해지면서 시장에 대한 정부의 제동 대책이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다.

우선 총부채상환비율(DTI)하고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DTI는 60%이며, LTV는 70%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DTI·LTV가 각각 50%로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즉 과거 집값이 10억원이라면, 6억원까지 빌릴 수 있었는데, 이제는 5억원까지만 가능한 셈이다.

여기에 금리도 오름세이다. 오는 13·14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시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하더라도 금융권은 미국 금리인상을 반영할 것으로 관측된다. 과거처럼 대출을 끼고 갭투자하는 것은 이제 불가능한 셈이다.
여기에 하반기부터 쏟아지는 물량이 만만치 않아 대출을 많이 끼고 집을 산다는 것은 상당한 위험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청약시장 쏠림현상…3곳 중 1곳 미달


서울시내 재건축 및 재개발사업 아파트가 넘쳐나는 청약 수요로 시장의 열기를 주도하고 있으나 실제 청약시장 ‘쏠림현상’은 여전하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청약을 접수한 서울 영등포구 ‘보라매SK뷰’는 특별공급 제외 527가구 모집에 1만4589건의 청약이 몰리면서 평균 27.68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전용면적 70㎡형에 212명의 청약자가 몰리며 최고 106 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지난달 31일 청약접수를 진행한 강동구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는 평균 11.3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하지만 같은 기간 경기·인천지역 청약시장은 한산했다. 의정부 ‘e편한세상 추동공원 2차’와 안양 명학역 인근 ‘유보라 더 스마트’, 인천 ‘영동하늘도시 스위첸’ 등이 청약에 나섰지만 일부는 미달됐다.

실제로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투데이 조사에 따르면 대선 이후 청약을 진행한 전국 22개 단지 가운데 14개 단지가 청약 마감에 성공했지만 나머지 8개 단지는 가구 수를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약열풍이라고 인정할 만큼 시장이 녹록지 않다는 것이다.


윤정남 기자 y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