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파푸아뉴기니 부건빌섬 .광업권 분쟁 1라운드 호주 '부건빌구리' 회사가 이겼지만

공유
8

[글로벌-Biz 24]파푸아뉴기니 부건빌섬 .광업권 분쟁 1라운드 호주 '부건빌구리' 회사가 이겼지만

금구리 580억달러어치 매장 추정...자치지역, 새 회사에 채굴권 넘기는 법 개정 추진

[글로벌이코노믹 박희준 기자] 남태평양 북부솔로몬제도의 작은 섬 부건빌 섬이 광업권을 놓고 자치정부와 호주 광산회사가 다툼을 벌이고 있어 시끄럽다. 1라운드에서는 호주 광산회사가 이긴 것으로 나타났지만 결말이 어떻게 나올지는 미지수다.

호주상장사 '부건빌구리(BCL)'이 운영하다1989년 폐쇄한 부건빌섬 팡구나 구리-금 노천광산 전경. 사진=BCL이미지 확대보기
호주상장사 '부건빌구리(BCL)'이 운영하다1989년 폐쇄한 부건빌섬 팡구나 구리-금 노천광산 전경. 사진=BCL

부건빌섬은 북부솔로몬 제도의 하나로 1885년 독일이 처음으로 식민지로 삼았으나 1900년에 영국에 양도했다가 제1차 대전 이후에 호주가 위임 통치한 지역이다. 솔로몬 군도의 북부에 있는 섬이지만 솔로몬 군도 국이 아니라 파푸아 뉴기니 국의 부건빌 자치지역으로 돼 있다.

13일 광산업 전문 매체 마이닝닷컴 보도에 따르면, 부건빌자지치역은 새 광산회사에 광물 채굴권을 부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공업법 개정안을 거부했다.

이로써 광업권을 가진 호주 상장사 '부건빌구리(BCL)'는 한숨을 돌렸다. 이 법안이 통과됐다면 과거 세계에서 가장 큰 노천 구리광산인 팡구나(Panguna) 광산을 운영한 BCL이 보유하고 있는 토지권 등이 위험에 처할 수도 있었다. 발의된 법안은 섬전역의 광업권을 BCL에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법인 등록한 부건빌어드밴스마이닝에게 넘기는 수정조항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부건어브댄스마이닝은 제플리 맥글린과 기타 외국인 투자자, 국가들이 소유한 캐벌러스 마이닝(Caballus Mining)이 4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로 알려져 있다.

이 광산은 지금도 구리 530만t, 금 1930만 온스가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BCL에 따르면 580억 달러어치다. 부건빌자치정부는 광산 재가동에 최대 100억 호주달러가 들어갈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BCL은 광산 재가동에 50억~60억달러의 비용이 필요하고 최소 7~8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광산은 내전으로 1989년 폐쇄됐는데 폐쇄전에는 파푸아뉴기니 국내총생산(GDP)의 44%를 차지한 캐시카우였다. 그러나 환경오염과 지역민 보상을 둘러싼 갈등이 1989년 폭력사태로 비화했고 이것이 다시 독립운동으로 이어지면서 2만명이 목숨을 잃었다. 파푸아뉴기니는 군대를 파견해 겨우 내전을 종식시켰다.

BCL은 광산폐쇄 결정을 내렸고 2001년 평화협정문으로 이 지역을 독립지역으로 설정하고 독립의 길을 마련했다. BCL 지배회사인 리오틴토그룹은 2016년 지분을 포기해 파푸아뉴기니 정부와 BCL이 각각 36.45%의 지분을 보유하게 됐다.

문제는 부건빌자치정부 독립을 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부건빌자치지역정부는 파푸아뉴기니가 주는 보조금을 대체할 새로운 돈줄을 찾아보니 팡구나 광산이 눈에 들어왔고 이를 재가동하는 묘안을 찾아낸 것이다.

그동안 팡구나 광산의 영업 재개 추측은 무성했다. 2017년 말 영업재개론이 표결에 붙여졌는데 의견은 거의 반분돼 결론이 나지 못했다. 자지치역 당국은 이 광산 재개가 아문 상처를 다시 터지게 할 것이라고 염려했다. 같은 맥락에서 부건빌 정부는 지난해 1월 임시 탐사권을 연장해달라는 BCL 요구도 거부했다.

이 지역 표층토양과 지하 광물에 대한 권리를 보유한 2000여명의 토지 소유주 모임인 SMLOLA의 마틴 미리오리 회장은 마이닝닷컴에"우리의 광물을 훔치고 부건빌 광업법이 보장한 우리의 모든 권리를 거부할 시도를 설명하거나 합리화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정부의 법안 거부로 모든 게 해결 난 것은 아니다.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지주들과 광업권을 다른 회사로 넘겨 재정 수입을 올리려는 자치정부, 그리고 새 광산회사의 갈등은 여전히 땅밑에서 불타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박희준 기자 jacklond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