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지구에 모래가 모자란다"

공유
1

[글로벌-Biz 24] "지구에 모래가 모자란다"

가까운 시일에 수요가 공급 초과…관리감독·통계시스템 구축 절실

네이처의 최근 연구 결과에서 모래와 돌(자갈)의 채굴 속도가 자연의 회복 속도를 웃도는 것으로 드러났다. 관리감독 및 통계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네이처의 최근 연구 결과에서 모래와 돌(자갈)의 채굴 속도가 자연의 회복 속도를 웃도는 것으로 드러났다. 관리감독 및 통계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
영국의 국제 과학 학술지 네이처는 최근 "모래와 돌(자갈)의 채굴 속도가 자연의 회복 속도를 웃돈다"는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채굴자들이 자원 부족을 깨닫지 못하는 사실 때문에, 채굴을 지속 불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네이처는 지적했다.

동시에, 자연의 보존과 회복을 위한 국제 비정부기구 세계자연보호기금(WWF)과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유엔환경계획(UNEP)의 보고서에서도 "모래에 무거운 발자국이 났다"고 표현하며, "행동과 법규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무분별한 채굴로 인해 고운 모래가 모두 사라지고 있으며, 채굴을 통제해야 한다는 의미다.
모래와 자갈 사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자연의 재생 속도를 웃도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 인해 금세기 중반에는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현재 시점에서 이러한 공급 부족을 문제시하는 것은 왜일까. 왜 일찍 이를 간파하지 못한 것일까.

이에 대한 해답은, 지난 오랜 세월 동안 전 세계 모래와 자갈 채굴량을 추정할 수 없었으며, 설령 이를 수치화했더라도 신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채굴량이 너무 낮게 보고 되어 왔다는 현실을 지적할 수 있다.

실제 2019년 초 연구자들이 443건의 모래 채굴에 관한 논문을 검색한 결과, 채굴량을 표기하고 장기적으로 전체 유역의 퇴적층을 조사한 사례는 불과 28건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기술면에서도 모래와 자갈을 측정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주요 채취 장소인 강에서 모래의 이동 또는 퇴적을 추정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많은 큰 강들은 여러 국가를 경유하고 있기 때문에 통계를 잡는 것도 결코 쉽지 않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전 세계 대다수 사람들이 모래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사막이 지구 육지 면적의 20%를 차지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사막의 모래는 매끈매끈해서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모래로 분류되어 있다. 산업용에 적합한 것은 거친 모서리가 있는 모래로, 그 대부분이 지구 면적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강에서 채취되는 것이 전부다.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모래의 양은 연간 약 320억~500억 톤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모래와 자갈은 채굴량이 가장 많은 원료 중 하나로, 실제 화석 연료보다 수요가 훨씬 많다. 시멘트나 유리, 전자 기기 등에 모두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수요의 대폭 증가의 원인이 도시화와 세계 인구의 증가에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머지않아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모자랄 것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결코 소홀히 넘길 수 없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WWF와 UNEP의 보고서에서도, 모래 채굴이 지속 가능한지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보고서는, "문제의 근원은 합리적인 속도로 모래를 소비 및 채굴하기 위한 데이터 및 정책이 부족한 것에 있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한 연구팀은 UNEP와 세계무역기구(WTO)가 모래와 자갈에 대한 세계적인 감독 시스템을 구축 및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호소한다. 과학계는 강 속의 모래의 생성량과 채굴량을 표시할 수 있는 통계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만약 전 세계가 이를 각성하고 동참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기를 원한다면, 모래와 자갈에서 불거진 심각한 문제의 규모를 일반 학계와 각국 정부에 모두 밝힐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각지 모래의 사용 제한과 법안을 제정하고, 합리적인 사용을 촉진해야만 지구상에서 오랫동안 모래를 밟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여기에는 합법 및 불법 채굴을 모두 포함해야 하며, 어느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은 전 세계의 동참이 반드시 필요하다.


김길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