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업분석] 한국전력, 지난해만 못하겠지만…저평가 탈피 기대

공유
2

[기업분석] 한국전력, 지난해만 못하겠지만…저평가 탈피 기대

대선 후 연말께 요금 변동 가능성…현 시가총액은 발전 부문 장부가도 반영 못해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유병철 기자] 금융투자업계는 올해 한국전력에 관심이 높다.

실적은 지난해보다 못하겠지만 올해 순이익이 적정 수준(5조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은데다 양호한 펀더멘털과 전력사업 개혁 움직임에 비하면 과도하게 저평가됐다는 분석이다.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한국전력의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소폭 늘어나겠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할 전망이다.

실적 컨센서스를 살펴보면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0.6% 늘어난 15조7863억원,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17.8%, 9.5% 감소한 2조9654억원, 1조9578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올 한 해 실적에 대한 기대치도 1분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올해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60조7344억원, 10조3212억원, 6조4328억원이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0.9% 늘어나겠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4%, 10% 감소한 수치다.

2015년과 지난해 국제유가의 하락으로 인해 사상 최대의 실적을 시현할 수 있었지만 올해는 유가가 안정되면서 지난해 수준의 실적을 올리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전력의 올해 실적에 영향을 끼칠 변수는 대통령선거, 미국 금리인상, 석탄·유가 등의 원재료가 동향, 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발전자회사 상장 등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5월 초 있을 19대 대통령 선거에 따른 요금 조정 영향은 낮아 보인다.
공공요금 조정은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이다. 대선이나 총선 직전에 전기요금 조정 사례는 없다. 대선 직후에는 요금조정 사례가 있지만 통상 전기요금 조정이 동절기와 하절기 전력 수요 성수기 전후에 시행됐음을 감안하면 일러도 11월은 돼야 할 전망이다.

김상구 키움증권 연구원은 “과거 대선과 전기요금 조정 시점을 추종하는 방식으로 조정된다면 가을 비수기를 건너뛰고 11월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며 “지난해 12월 가정용 요금이 인하된 만큼 시급하게 요금이 조정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가가 떨어지면서 에너지 가격과 전기요금의 괴리가 축소된 점도 요금 조정 필요성을 반감시키는 요소다.

전문가들은 갈수록 한국전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것이라고 본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시장의 염려는 과도한 수준”이라며 “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의 윤곽이 잡혀 전력수급 계획의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발전자회사 상장으로 전력시장 개편 기대감이 반영되면 기업가치는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발전자회사 상장 이슈다. 한국전력 발전 자회사의 총 발전설비 규모는 7억9107메가와트(MW)이다. 토지와 건물을 제외한 발전장비의 장부가 기준 가치는 33조5670억원이다.

한국전력 시가총액은 27조원 규모다. 자회사 발전부문의 장부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발전자회사 상장은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성을 높인다.
전문가들은 예측할 수 없는 악재는 대부분 반영됐으며 에너지 가격 안정화에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누진제 개편에 따른 전기가격 인하는 지난해 하반기 실적에 반영됐으며 올해 정치적 변수로 전기 가격의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시장의 기대치는 이미 낮아졌다는 설명이다.

한승재 동부증권 연구원은 “올해 실적은 지난해보다 부진하겠지만 에너지 가격의 하향 안정화에 따른 연료비·구입전력비 감소로 내년 이후 재차 턴어라운드가 예상된다”며 “올해 예상 자기자본이익률(ROE)은 6.6%로 밸류에이션에 반영된 2011~2020년의 평균 ROE 4.6%를 상회하는 수준이며 지금 주가와 실적은 악재가 대부분 반영되어 있다”고 말했다.

■투자지표
빚 많고 성장성 낮아…수익성은 탄탄

한국전력의 지난해 말 기준 수익성은 좋았지만 안정성과 성장성은 미흡한 편이다.

글로벌이코노믹이 한국전력의 재무비율을 조사한 결과 안정성 면에서 유동비율이 낮고 부채비율이 높았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증가율도 낮은 편이었고 주당순이익(EPS) 증가율은 마이너스였다.

유동비율은 79.7%로 나타났다.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이 유동부채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다. 비율이 높을수록 지불 능력이 커지고 안정성이 높다.
기업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부채비율은 143.4%다. 부채비율은 부채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이다. 자본(73조505억원)보다 부채총계(104조7865억원)가 더 많다.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이자보상배율은 6.9배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큰 것은 영업활동으로 번 돈이 금융비용을 지불하고도 남는다는 의미다.

매출액증가율은 2.1%다. 이 회사의 매출액은 지난 2015년 58조9577억원에서 지난해 말 60조1904억원으로 늘었다. 영업이익은 2015년 말 11조3467억원에서 12조16억원으로 5.8% 증가했다. EPS 증가율은 –47%다. 2015년 2만701원에서 지난해 1만980원으로 반 토막 났다.

수익성 부문에서 영업이익률은 19.9%로 계산됐다. 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EBITDA) 마진율은 34.8%다. 2012년 12.5%에서 매년 증가 추세다.

총자산이익률(ROA)은 4.1% 수준이다.

■재무상태와 지배구조
국내 전기 송배전 ‘독점’ 사업자

한국전력은 1981년 12월 제정된 한국전력공사법에 기초해 설립된 공기업이다. 1982년 정부가 전액 출자해 설립됐다. 1989년 8월 10일 국민주 2호로 증시에 상장됐으며 1994년 10월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2001년 4월 발전부문을 떼어내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자회사로 분할했다.

전력의 송전, 배전,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국내 전력시장에서 한국전력은 송배전과 판매를 담당하고 발전자회사와 민자발전사가 전력을 생산하여 전력거래소를 통해 거래하는 구조다.

국내 전기 송배전을 독점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판매 전력량에 연동된다. 한국전력 자신은 전기판매, 전력자원 개발, 투자 및 출연, 부동산 활용 등을 사업으로 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연결 대상 종속회사는 국내 21개, 해외 61개사를 포함해 총 82개사다.

자회사는 원자력, 수력, 양수 발전, 유연탄, 무연탄, BC유, LNG 등의 발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또한 발전소 설계와 설비 정비, 연료 공급, 전력 IT서비스, 신재생발전 사업, 해외 자원 개발과 발전소 건설 사업 등도 맡고 있다.

최대주주는 한국산업은행으로 32.9%(2억1123만5264주)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정부가 특수관계인으로서 18.2%(1억1684만1794주)를 보유하고 있다.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총 지분율은 51.10%다.

국민연금이 6.84%(4391만7955주)를 가지고 있으며 씨티은행도 5.31%(3411만3003주)를 보유 중이다. 사우디아라비아 통화청도 1.48%(947만3384주)를 갖고 있다. 소액주주는 35.27%(2억2638만2677주)를 보유하고 있다.
유병철 기자 ybsteel@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