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금융권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본격 시동… 연내 1000명 전환 될 듯

공유
12

금융권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본격 시동… 연내 1000명 전환 될 듯

금융위원장 "수시로 필요한 만큼 인력 채용하는 방식 검토"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7일 서울 신촌 연세로에서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D.CAMP)가 주최한 'IF(Imagine Future)2017'에 참석해 스타트업 서비스 시연을 참관하고 참가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미지 확대보기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7일 서울 신촌 연세로에서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D.CAMP)가 주최한 'IF(Imagine Future)2017'에 참석해 스타트업 서비스 시연을 참관하고 참가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글로벌이코노믹 석지헌 기자]
금융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본격 시작된다.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시중은행까지 금융권 전반에 걸쳐 정규직 전환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18일 금융위원회는 금융권 일자리 확대를 위해 금융공공기관이 앞장설 수 있도록 이달 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중소기업은행, 산업은행,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등 7개 금융공공기관의 지난 상반기 말 기준 비정규직 직원은 6000여 명이다. 당초 기준대로라면 4000여 명이지만 파견·용역, 사내하도급 등으로 범위를 확대했기 때문에 규모가 늘어났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이 가운데 연내 정규직 전환 대상인 기간제 근로자는 중소기업은행이 420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신용보증기금 150명, 산업은행 121명, 주택금융공사 118명, 예금보험공사 84명, 한국예탁결제원 74명, 한국자산관리공사가 12명 순이다. 계획대로라면 7개 금융공공기관에서 모두 979명이 연내 정규직으로 전환되게 된다.

금융위는 금융공공기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방안을 마련해 모범사례로 삼고 향후 민간부문으로 점차 확대시켜 나갈 계획이다.

시중은행들도 문재인 정권 이후 정부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정규직 전환 계획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정규직 전환 공감대는 충분히 이뤄졌다. 하지만 비정규직의 형태가 시중은행의 경우 매우 다양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청소원, 경비원, 단순 사무보조직 같은 비정규직 형태도 많지만 은행퇴직자, 전문직(변호사, 회계사 등) 연구원 등 2~3년 단위로 계약해 채용하는 경우도 있어 일괄 전환하기에는 고민할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시중은행의 경우 워낙 규모도 크고 직원도 많기 때문에 현 호봉제 중심의 급여체계를 직무급제로 바꾸는 등 시스템적으로 해결할 문제가 많다는 의견이다. 먼저 금융공공기관의 정규직 전환 케이스를 보면서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생각이다.

금융위가 지난 8월 말 심상정 정의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분기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의 기간제 근로자는 총 6298명이다. 농협이 2981명(전체 근로자의 18%)으로 가장 많고 국민은행 1241명(6.8%), 신한은행 864명(5.9%), 우리은행 761명(4.9%), KEB하나은행 451명(3.2%) 순이다.

외국계 은행의 경우 SC제일은행은 전 직원 4529명 가운데 기간제 근로자는 300명으로 6.6%, 씨티은행은 3546명 가운데 181명으로 5.1%다. 국책은행의 경우 산업은행은 3367명 중 121명으로 3.6%, 수출입은행은 1075명 중 64명으로 6.0%다. IBK기업은행은 전 직원 1만2829명 중 기간제 근로자가 434명으로 3.4%를 차지했다. 수협은행의 경우 1847명 중 105명으로 5.7%다.

정규직 전환과 더불어 금융권 채용방식에도 큰 변화가 일 것으로 보인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7일 서울 연세로 일대에서 진행된 'IF(IMAGINE FUTURE)2017'에 참석, 스타트업 대표와 간담회에서 금융권 채용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카카오뱅크처럼 금융산업의 경계를 허물고 진입장벽과 영업규제를 완화해 일자리를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1년에 1~2회 정도로 정해진 공채 시스템을 손 보겠다는 생각이다.

최 위원장은 “현재처럼 1년에 1~2회 정도로 제한된 공채를 진행하는 것보다는 수시로 필요한 만큼의 인력을 채용하는 수시채용 방식을 검토하겠다”며 “직군과 해당업무에 맞는 사람을 찾아주는 맞춤형 채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석지헌 기자 cak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