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통3사 3Q, SKT ‘만회’, KT ‘주춤’, LGU+ ‘선전’… 4Q 해일이 다가온다

공유
0

이통3사 3Q, SKT ‘만회’, KT ‘주춤’, LGU+ ‘선전’… 4Q 해일이 다가온다

[글로벌이코노믹 신진섭 기자] 올해 3분기 SKT,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실적에 먹구름이 끼었다. 4분기 실적 전망도 밝지 않다.

이통 3사의 지난 3분기 매출액은 총 13조32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다. 하지만 3사 영업이익 총합은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했다.
SK텔레콤과 KT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으나 영업이익은 한자리 수 감소세를 보였다. 갤럭시노트8, V30, 아이폰8 등 플래그쉽 모델 판촉비가 발목을 잡았다. SK텔레콤 마케팅 비용은 7976억원으로 전년대비 10.5% 늘었고 KT는 6777억원으로 2%, LG유플러스는 5520억원으로 13.4% 각각 증가했다. LG유플러스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성장하며 선전했다.

◇정체된 이통시장, 유선사업 비중 높은 LG유플러스 선전


SK텔레콤 3분기 영업이익은 마케팅 비용과 감가상각비 증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했다. 매출은 무선 가입 고객 증가와 SK브로드밴드·SK플래닛 등 주요 자회사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4조4427억원을 기록했다.

LTE고객은 늘어가지만 성장세는 주춤하다. 3분기 말 기준 SK텔레콤 전체 가입 고객은 전년 동기 대비 70만5000명 늘어난 3016만명을 기록했으며 이 중 LTE 고객은 2257만명으로 전체 가입 고객의 74.8% 수준이다. ARPU(가입자 당 수익)는 전년 동기 대비 16원 오른 3만5488원이다.

KT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5.4%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마케팅비용과 방송발전기금이 증가하면서 6.1% 하락했다. 유선전화의 매출도 하락세를 걷고 있다.

같은 기간 LG유플러스는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동반성장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2141억원,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11.8% 상승한 3조596억원을 기록했다.

LG유플러스의 선전은 타 이통사 대비 높은 유선매출 비중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유선수익은 TPS 사업과 데이터 사업의 수익 증가 영향 등으로 작년 동기 대비 7.3% 상승한 9622억원을 달성했다.

LG유플러스도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3분기 기준 LTE 가입자가 1186만1000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91%에 달한다. 더 이상 LTE 전환으로 인한 부가가치 생성이 어려워졌다는 뜻이다. 3분기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선택약정할인율 증가 등의 요인으로 3만5316원을 기록하며 직전 분기 대비 1.19% 하락했다.

◇4분기, 실적 악화 파도 친다


올해 3분기가 성장 정체였다면 4분기는 본격적인 실적 악화가 대두될 가능성이 있다. 선택약정할인율 상향과 단말기 완전자급제, 보편요금제까지 악재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4분기에는 선택약정할인율 25% 상향에 따른 실적 악화가 본격적으로 반영된다. 앞서 이통업계는 선택약정할인율이 기존 20%에서 25%로 증가한다면 최대 5000억원의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ARPU에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 9월 지원금상한제가 없어져 언제든지 출혈 마케팅이 벌어질 수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이다.

단말기 완전 자급제는 KT와 LG유플러스에게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보조금을 통해 고객 유치가 원천적으로 봉쇄되며 기존 5:3:2 점유율 비율이 고착화될 우려가 있다. 스마트폰, IPTV, 인터넷, AI스피커 등 묶음 상품 판매로 인해 SK텔레콤으로 고객들이 몰리는 ‘쏠림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정부가 ‘취약계층 요금 감면’을 위해 추진 중인 보편요금제도 암초다. 정부는 ‘데이터 1.3GB, 음성 200분’을 제공하면서 요금은 2만원대인 ‘서민용 통신상품’을 만들겠다는 입장이다.

이통사들은 보편요금제를 도입하면 기존 요금제의 전면 수정이 불가피하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업계는 보편요금제 도입으로 인한 연간 손실액을 약 2조 2000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완전자급제 및 보편요금제에 대한 논의는 ‘통신비 사회적 논의 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신진섭 기자 jsh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