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업분석] 삼성생명, 이익증가 가시성 높아져… 올 4분기 위험손해율 65% 전후로 하락 전망

공유
0

[기업분석] 삼성생명, 이익증가 가시성 높아져… 올 4분기 위험손해율 65% 전후로 하락 전망

향후 시중금리 상승으로 역마진 스프레드 축소될 듯… 삼성전자 지분 매각 가능성도 호재

자료=금융감독원, 삼성생명이미지 확대보기
자료=금융감독원, 삼성생명
[글로벌이코노믹 김대성 기자] 삼성생명은 올해 3분기 지배주주 순익은 320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4.1% 감소했으나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했다.

전년 동기의 본사 사옥 매각익 2777억원을 배제시 전년동기에 비해 16.4%의 이익 개선을 실현했기 때문이다.
삼성생명의 올 3분기 연결기준 보험영업수익은 4조2218억원, 영업이익 3973억원, 당기순이익 3430억원을 기록했다. 보험영업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1.5% 줄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44.0%, 77.0% 감소했다.

삼성생명은 3분기 위험손해율이 64일에 달했던 영업일수 증가 영향과 보험금 지연이자에 대한 소급적용 150억원이 지급됐다.

오진원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삼성생명이 3분기 IBNR(미보고발생손해액) 추가 적립 120억원 영향으로 위험손해율이 85.7%로 악화됐다”면서 “영업일수가 58일에 불과한 4분기는 65% 전후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삼성생명은 3분기 투자이익률이 3.0%를 기록했는데 삼성전자 배당수입이 744억원 반영됐다.

3분기 누적 신계약가치는 9250억원으로 전년 대비 15.4% 상승했는데 보장성 APE(연납화보험료)의 26% 감소에도 불구하고 보장성 마진의 대폭 개선 효과가 컸기 때문이다.

올 3분기 삼성생명의 이차스프레드는 -77bp로 지난 2분기 대비 3bp 악화됐다. 채권 만기도래에 따른 이원 하락폭이 5bp로 컸기 때문이다.
삼성생명은 현 금리 수준이 유지된다면 2019년까지도 이차스프레드의 점진적 악화가 예상되나 금리가 30~40bp 상승 가정시 이차스프레드가 현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 연구원은 “기준금리의 2차례 인상 가능성 및 장기금리 방향성을 고려할 때 이차 스프레드 추가 악화 여지는 제한적”이라며 “삼성전자 배당수입의 1900억원대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위험 손해율도 76%대로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료=금융감독원, 삼성생명이미지 확대보기
자료=금융감독원, 삼성생명

김도하 SK증권 연구원은 “삼성생명의 3분기 보장성 APE는 4491억원으로 감소했으나 신계약마진의 상승으로 보장성 신계약가치가 31.6% 증가했다”면서 “변액보험과 관련해 3분기 누적 2400억원 수준의 이익을 시현했다”고 판단했다.

김 연구원은 “삼성생명은 기존 배당:자사주:유보=1:1:1 의 자본정책을 실행했으나 자사주 매입 대신 배당을 보다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계열사 지분가치 증가 등을 기반으로 30% 이상의 배당성향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태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생명의 3분기 위험손해율이 85.7%로 전년동기 대비 7.5%포인트 상승했다”며 “이례적인 위험손해율 상승 배경은 방학철 진단 및 클레임 증가와 영업일수 감소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윤 연구원은 “삼성생명의 신규투자이익률은 3.4%로 지난해 3분기 2.8% 최저점을 찍은 후 꾸준히 상승 중”이라며 “향후 시중금리 상승으로 신규 투자이원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역마진 스프레드가 점진적으로 축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남석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분기 배당수익이 반영되면서 경상적인 투자손익이 늘어났고 변액보증준비금 환입이 발생하면서 준비금 적립 규모도 감소했다”면서 “영업일수 증가와 계절성 등으로 인해 손해율이 부진했다는 점을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양호한 실적”이라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2018년 삼성전자 지분 매각에 따른 기대감은 커질 수 있으나 과도한 기대감 형성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며 “삼성전자 지분의 매각 여부가 결정나더라도 지분 매각의 주체가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자 지분 매각이 현실화되더라도 매각 이익의 유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2021년까지 예정된 IFRS17과 新지급여력제도 (K-ICS) 도입 추진 과정에서 자본적정성 유지를 위해 일정 수준의 자본 버퍼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김대성 기자 ki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