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동유럽 껴안기 나선 중국, 돈보따리 푼다... 중동유럽 16개국과 정상회의서 30억유로 협력 발표

공유
2

동유럽 껴안기 나선 중국, 돈보따리 푼다... 중동유럽 16개국과 정상회의서 30억유로 협력 발표

전전 긍등하는 EU... 동서 유럽, 일치 전략 없으면 '유럽 분단' 될수도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유럽 진출에 속도를 높이면서 동서 유럽의 균열이 심화되고 있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유럽 진출에 속도를 높이면서 동서 유럽의 균열이 심화되고 있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김길수 기자] 동유럽에 대한 중국의 지원과 협력이 강화됨에 따라 유럽연합(EU)이 서둘러 중국에 의한 '유럽 분단'을 경계할 것을 호소했다.

지난 27일(현지 시간)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에서 개최된 중국과 동유럽 16개국 정상 회의에서 중국의 리커창 총리는 유럽 동부지역 발전을 위한 자금 협력 확대를 표명했다. "중국과 동유럽의 협력은 상호 이익을 기반으로 한다. 세계화의 추세에 따른 것으로 합리적이다"는 리 총리의 연설로 시작된 회의에서 중국은 16개국의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신용 공여 신설 등 총 30억유로(약 3조8500억원) 규모의 협력을 발표했다.
회의는 2012년부터 매년 개최되어 올해로 6번째이며, 동유럽에서 EU 회원 11개국과 비회원 5개국이 참가한다. 그동안 대화의 틀은 정치와 경제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등 많은 분야에 이르기까지 확충되어 왔다. 현지 언론들은 중국이 동유럽과 깊은 관계를 맺음으로써 유럽의 대 중국 정책에 영향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동유럽은 중국의 지원을 흔쾌히 받아들였다고 보도했다.

서유럽보다 개발이 늦은 동유럽으로서는 개별적으로 기회가 적은 중국 인사와의 접촉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회의를 통한 중국의 협력에 기대가 크다. 특히 관계 강화에 열심인 헝가리는 중국의 지원을 받은 헝가리-세르비아 간 고속철도 정비의 입찰에 대해 회의에 맞추어 발표하기도 했다.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는 "중국은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자원이 있다"며 중국의 지원을 크게 환영했다.

하지만 EU 측은 동유럽을 발판으로 하는 대중 정책은 EU의 대오를 흩뜨리려는 속셈이라고 강조하며, 동유럽 국가에 대해 "중국 접근에 경계를 강화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독일의 가브리엘 장관 또한 "동서 유럽이 일치하는 전략을 취하지 않으면 중국은 유럽의 분단에 성공할 것"이라고 위기감을 표명했다.

실제 EU의 우려는 이미 여러 곳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남중국해 문제에서 중국의 주장을 배척한 중재 재판소의 판결에 대해 헝가리 등 동유럽 국가의 반발이 있었고, 결국 EU의 성명에서 중국을 직접 지목하는 문구는 삭제됐다. 또한 최근 중국을 염두에 두고 내놓은 유럽 기업의 인수 방어책은 동유럽 국가의 반대로 크게 후퇴했다.

헝가리-세르비아 간 고속철도 또한 중국 측의 헝가리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으로 보기는 힘들다. 가장 합리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부합하는 단계적인 건설 목표라고 풀이할 수 있다. 중국의 해상실크로드를 통해 그리스의 주요 항구에 모인 물자들을 유럽에 운송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독일의 중국 전문가는 "중국이 유럽을 투자 대상으로 중점을 두는 국가는 영국과 프랑스 독일뿐"이라며, "동유럽은 정치적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고도 볼 수 있다"라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사실 중국 또한 실질적인 투자는 동유럽보다 서유럽에 치중되어 있다. 동유럽 16개국에 대한 중국 투자는 2012년 이후 3배정도 늘었지만 여전히 서유럽에 대한 투자 규모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충분한 성과를 얻을 수 없는 일부 국가는 실망감을 내비치기도 한다.

하지만 "중국과의 경제 관계 강화는 독일과 프랑스 등이 먼저였다"며, 서유럽 선진국의 위기의식이 단순히 중국의 진출을 견제하기 보다는 동유럽 발전을 저해하기 위한 속셈이라는 헝가리 등 동유럽 국가 중국 전문가들의 반발적인 견해도 있다.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유럽 진출이 가속화 되면서 동서 유럽의 균열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만은 사실이다.


김길수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