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무역협회 “한국 제품, 中소비자 신뢰 회복에 시간 필요”

공유
0

무역협회 “한국 제품, 中소비자 신뢰 회복에 시간 필요”

무협 설문조사, 한국 제품 불매 소비자 중 사드 해결시 韓제품 구매재개 63.1%

한·중 관계가 해빙 무드에 접어들고 있지만, 한국 제품이 중국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는 다소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 관계가 해빙 무드에 접어들고 있지만, 한국 제품이 중국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는 다소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이코노믹 길소연 기자] 한·중 관계가 해빙 무드에 접어들고 있지만, 한국 제품이 중국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6일 발표한 ‘한∙중 관계 개선에 따른 중국 내 한국 소비재 인지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월 31일 한∙중의 ‘관계 개선 관련 협의 결과’ 공동발표로 양국의 관계가 빠르게 정상화될 것으로 보이나 실제 한국 제품이 중국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최근 경기 호조세 속에서 중국의 대세계 소비재 수입이 2017년 8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하며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중국의 대한국 소비재 수입은 같은 기간 24.8% 감소하며 중국 소비자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소비재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도 2010년 5.0%에서 2017년 1~8월에는 2.5%로 하락세가 뚜렷하다.

한국무역협회가 중국 동·중·서부 3개 권역, 10대 도시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2017년 10월 19일 ~ 10월 30일)를 실시한 결과 사드 갈등이 한국 제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전체의 83.2%였다. 다만 사드 갈등으로 한국제품을 구매하지 않는 응답자 가운데 사드 현안이 해결될 경우 다시 한국 제품을 구매하겠다는 응답자가 63.1%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 여행 및 한류 체험 경험이 있는 응답자일수록 한국 제품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한국 여행을 경험한 응답자의 83.3%가 한국 제품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반면, 한국 여행 경험이 없는 응답자는 27.4%만이 한국 제품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에 향후 한국 여행 상품 판매와 한류 콘텐츠 방영이 재개될 경우 중장기적으로 중국 내 한국 소비재 판매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이번 설문조사에서 한국 소비재 품목별 구매율과 만족도도 함께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7.1%가 한국 제품의 구매 경험이 있었으며, 구매 품목 중 가장 구매율이 높은 품목은 뷰티제품이었다.
응답자의 71.1%가 뷰티제품을 구매했으며, 식품음료(61.9%), 패션제품(57.1%), 전자제품(47.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 제품 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품목은 대형 가전으로 5점 만점에 4.25점을 기록했으며, 주방제품(4.23점), 유아용품(4.21점)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무역협회는 사드 갈등 이후 한국 소비재가 현지 시장에서 다시 입지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국 소비자 수준에 맞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우선, 한류에 전적으로 의존한 마케팅에서 벗어나 중국 현지 젊은 층 트렌드에 맞춘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국내 S사의 ‘불닭볶음면’은 특유의 맵고 단맛으로 중국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았으며, 또한 인터넷 ‘먹방’ 영상을 통해 중국 전역으로 제품 영상이 홍보되면서 매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둘째로 현지 제도에 맞는 경영 활동의 전개와 함께 중국의 통관, 노무, 환경, 세무 등 관련 분야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중국 측은 향후 한중 관계 개선에도 과거와 달리 관시(关系, 관계) 중심의 사업방식에서 벗어나 법과 원칙을 더욱 강조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은 현지 제도 및 규정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 제품들과의 직접적인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 국내 기업이 직접 현지 조사를 통해 시장 및 제품 차별화를 도모해야 한다. 현재 중국 소비재와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일부 업체들은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에서 B2B(기업과 기업 간 거래)로 시장을 다각화하는 등 위험을 분산하고 있다.

국제무역연구원 박진우 수석연구원은 “최근 한∙중 관계 개선으로 국내 기업들이 서서히 중국 사업 재개에 시동을 걸고 있다”며“다만 사드 갈등으로 인해 멀어진 중국 소비자의 마음을 다시 얻기 위해서는 진출 지역별 특색을 감안한 현지화 전략을 신중히 계획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길소연 기자 k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