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데스크 칼럼] 아이코스 유해성 논란의 쓴맛

공유
4

[데스크 칼럼] 아이코스 유해성 논란의 쓴맛

조규봉 생활경제부장
조규봉 생활경제부장
20일부터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 히츠의 가격이 4300원에서 4500원으로 오른다. 세금 인상으로 궐련형 전자담배도 이제 명백한 담배로 인정을 받게 됐다. 그런데 유해성 논란은 여전하다. 궐련형 전자담배가 잎담배보다 더 건강에 해롭지 않다고 홍보한 담배업체 때문이다. 논란의 중심 필립모리스에 경의를 표한다. 애연가든 금연가든 간에 우리나라 소비자들을 상대로 정면승부를 한 것은 아주 이례적이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전 세계 시장에서 트렌드로는 따라갈 자들이 없을 정도로 유행에 민감하다. 그래서 피앤지 같은 글로벌 생활용품업체도 우리나라를 신제품 테스트 마케팅 시장으로 분류해 시제품을 내놓고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핀다.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에 따라 앞으로 출시할 제품의 방향은 물론 마케팅 방법도 바뀐다.

농촌진흥청이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쌀 재배시험을 한 적이 있다. 그런데 아쉽게도 시험하는 단계에서 프로젝트는 끝이 났다. 시민단체들과 학회 등 GMO를 우려하는 소비자들의 저항에 못이겨서다. 분명 미래에는 GMO가 식량안보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하는 미래 식량안보학자들도 선뜻 GMO의 안전성을 말하지 못한다. GMO를 반대하는 이들에게 합당한 근거를 내놓지 못하기 때문이다. 과자에 GMO 표시를 해야 맞지만, 유독 우리나라는 그 표시에 민감하다. 아예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GMO에 민감한 소비자들 때문이다. 필립모리스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한 이유다. GMO의 저항성만봐도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올바른 소비의 욕구가 그 어느 나라 소비자보다 크다. 그런데 그런 소비자들 앞에서 담배의 건강을 논하다니, 과연 제정신인가? 노이즈 마케팅인가? 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다.
담배의 3대 위험성은 타르, 일산화탄소, 니코틴이다. 아이코스는 발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타르가 없어 발암물질에도 안전하다고 치자. 그래서 잎담배보다 건강에 덜 해롭다고 하자. 그러면 일산화탄소나 니코틴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세 개 중 한 개는 빠졌으니 덜 해로운 것이 맞지 않으냐는 논리는 그 자체만으로 오류다. 3개 모두 건강에 나쁜 요인으로 작용해서다. 일산화탄소는 연탄가스로 보면 되는데 산소와 적혈구 헤모글로빈의 결합을 방해하여 저산소증의 원인이 된다. 자주 흡입하면 만성피로, 동맥 경화, 조기 노화를 부르는 치명적인 물질이다. 니코틴은 또 어떠한가. 담배의 중독성을 유발하는 물질로 흡연할 때 폐를 통해 빠르게 흡수돼 뇌까지 최소 7초 안에 도달한다. 금연할 때 니코틴 농도가 낮아지면 금단증상을 일으켜 금연을 어렵게 한다. 이 보다 더한 니코틴의 치명적인 위험성은 바로 우리 몸의 뼈를 녹게 한다는 것이다. 장기 흡연자들의 치아는 하나같이 정상적이지 않다. 이유는 니코틴의 영향으로 인해 치조골이 녹아 치아가 모두 빠질 수밖에 없어서였다. 그래서 혹자는 타르보다 이 니코틴을 더 경계해야 한다고 한다.

종합해보면 덜 해롭고 더 해로운 차이를 느끼지 못하는 게 궐련형 전자담배다. 담배회사의 논리대로만 따지자면 잎담배 중에서도 순한 담배는 인체에 덜 해로워야 맞다. 타르와 니코틴이 덜 들어 있으니 이보다 더 강한 담배보다는 덜 해로워야 하지 않은가? 하지만 오히려 건강에는 더 나쁘다. 대한가정의학회에 따르면 목 넘김이 부드러운 순한 담배는 좀 더 깊게 들여마시게 되고 하루에 더 많은 양의 담배를 피우게 돼 더 많은 타르를 마시게 한다. 혈액 속의 니코틴 함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려는 신체 반응 때문에 니코틴의 체내 흡수량이 자연적으로 증가할 뿐 아니라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점차 많은 양의 담배를 깊게 피우는 경향이 생긴다.

술과 담배는 죄악주라고 한다. 그 존재만으로도 인체에는 유해해서다. 일각에선 ‘사회악’으로도 치부한다. 담배를 끊은 지 석 달 됐다. 20년도 넘게 담배를 피우다 끊은 건 이용당하기 싫어서였다. 기가 찼다. 궐련형 전자담배는 잎담배에 비해 덜 해롭다는 말을 듣고. 그러면서 신제품을 홍보하고. 담배 핀 후의 쓴맛보다 씁쓸하다.


조규봉 생활경제부장 ckb@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