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세종시교육청, 다문화 학생 맞춤형교육지원 확대

공유
0

세종시교육청, 다문화 학생 맞춤형교육지원 확대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이 24일 오전 세종시교육청에서 브리핑을 실시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보기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이 24일 오전 세종시교육청에서 브리핑을 실시하고 있다.
[글로벌이코노믹 김종환 기자] 세종시교육청이 다문화 학생들을 위해 3대정책 중심의 세종다누림 교육정책을 발표하고 다문화 학생 맞춤형교육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24일 오전 세종시교육청에서 브리핑을 갖고 “민주적인 생활공동체를 위해 세종시교육청은 ‘어울림으로 동행하는 세종다누리교육’을 중점 추진하며 다문화교육 정책의 브랜드”라고 밝혔다.
이날 세종시교육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주민수가 총인구 대비 3.4%인 176만명을 넘어 본격적인 다문화사회진입을 앞두고 있으며 세종시 다문화가정 학생은 2018년 현재 전체 학생의 1.4%인 709명으로 매년 15% 이상 증가하고 있는 수치다.

이에 따라 세종다누림교육을 위해 ▲민주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문화다양성교육 확대 ▲교육기회 평등을 위한 맞춤형 교육지원 강화 ▲따뜻한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한 협력적 지원체계 구축 등의 3대 정책방향으로 추진한다.

문화다양성의 존중 교육을 위해 모든 학생들이 다문화 감수성이 풍부한 세계시민으로 성장하도록 운영할 방침이다.

모든 유·초·중·고 정규 교육과정에 다문화 이해교육 시간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특히, 다문화 유치원 2개원(가락유, 도란유)과 다문화 중점학교 4개교(감성초, 금남초, 연봉초, 전동초)를 교육과정과 연계한 다문화 이해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목적으로 하는 모델학교로 지정해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다문화가정 부모나라 방문사업’은 오는 10월 중순 25가정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제2회 세종다문화 어울림축제도 오는 10월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세종호수공원에서 다양한 체험부스, 공연, 정책 홍보, 다문화교육 성과 나눔 행사로 운영한다.
세종시 다문화가정 학생 변화 추이이미지 확대보기
세종시 다문화가정 학생 변화 추이

맞춤형교육 지원을 위해 다문화가정 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맞게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이중언어 재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특별 지원이 필요한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자녀의 빠른 적응을 위해 다문화교육지원센터와 다문화 예비학교(조치원교동초)에서 한국어 및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국내 출생 다문화가정 학생은 북부교육지원센터에서 개별 특성에 따라 전문가 및 재능기부 마을교사를 연결하여 지원한다.

다문화 학생들의 이중언어 재능을 조기 발굴·육성하기 위해 다문화 언어강사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중언어교육 운영학교 3개교 의랑초(베트남어, 중국어), 전의초(러시아어), 조치원중(베트남어)을 지정해 방과후 이중언어교실을 운영한다.

또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강화와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대학생(나눔지기)과 다문화 학생(배움지기)을 매칭하는 다문화 멘토링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모든 교원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이해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원 역량 강화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세종시 모든 교원이 최근 3년 이내 15시간 이상 다문화교육 관련 연수 이수를 목표로 원격연수 3개 과정과 집합연수 2개 과정을 운영하여 1,200여 명의 교원이 연수를 이수할 예정이다.

또한 교원의 세계시민교육역량 강화와 국제교육협력 증진을 위해 다문화 대상 국가(인도네시아, 베트남, 몽고, 캄보디아 등)와의 교사 교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협력적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따뜻한 마을교육공동체를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

세종시교육청 다문화교육지원센터를 위탁·운영을 통해 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인적ㆍ물적 네트워크를 만들어 나가 촘촘한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구축할 예정이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미래 다문화사회를 대비해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문화 다양성이 자연스럽게 인정되는 공동체사회를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 구성원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종환 기자 axkjh@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