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리튬이온 배터리의 두 얼굴, 문명의 利器 VS 생태계 위협…국제환경규제에 사전 대응해야

공유
3

리튬이온 배터리의 두 얼굴, 문명의 利器 VS 생태계 위협…국제환경규제에 사전 대응해야

[특별기획-세계의 환경규제] ⑤리튬이온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사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리튬이온 배터리. 사진=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류하영 기자] 리튬이온 배터리는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문명의 이기(利器)다. 스마트폰, 노트북, 전기차 등 우리 생활 곳곳에 사용된다. 하지만 폐기된 리튬이온 배터리는 우리 생태계를 위협하는 위험 요소다.

지난 몇 년간 리튬이온 배터리가 탑재된 호버보드, 스마트폰, 전자담배 등 다양한 제품들이 화재가 나거나 폭발했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각종 사고의 주범이었다. 이에 2017년 12월 미국 주요 항공사들은 스마트 캐리어 내 리튬이온 배터리 규제안을 발표했다. 한국 정부도 2016년 무선 이어폰과 스마트 팔찌 등 웨어러블 기기의 소용량 리튬 배터리에 대한 화재 안전성 규제를 도입한 바 있다.
앞서 미국 우정청(US Postal Service)은 지난 2015년 리튬이온 배터리의 신규 운송 표준을 도입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분류 및 운송 체계가 제대로 정착되지 않을 경우 수많은 리튬이온 배터리가 임의로 폐기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임의로 폐기된 배터리는 환경에 악영향을 주어 지구 생태계를 위협할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 나왔다.

뿐만 아니라 리튬이온 배터리는 안정성에도 많은 문제를 안고 있어 운송체계가 확실하게 자리잡혀야 할 필요성이 높다.

지난 5월 8일 베트남 정보통신부가 리튬배터리에 관한 규정 개정을 발표한 것이 그 대표적인 예다. ‘안전성 요건’에 의거해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에 사용되는 리튬배터리를 베트남 시장에서 판매할 경우 ICT 문서 및 마크를 부착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한때 전 세계적으로 문명의 이기를 가장 극대화 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던 리튬이온 배터리는 이제 세계의 환경문제에서 수세에 몰려 있다. 휴대폰, 노트북, 휴대용 CD Player에 장착되며 방전과 충전을 1000회 이상 반복사용이 가능하기에 각광을 받았지만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처리하기가 곤란해진 것이다.

폐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처리방법은 추출법, 삼출법, NMP법, 수열법 등이 있다. 특히 첨단재활용처리 방법에는 전기화학적 환류법, CCER법, CSER법 등이 활용된다. 기존 물리적 분리방법으로는 재활용 대상 소재에 대한 적정수준 이상의 재활용 제조가 불가능하여 추출법, 삼출법 등 화학적 분리방법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복잡한 다단계 공정, 고가의 처리비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그러나 리튬이온 배터리는 고유가 및 환경규제, 친환경 정책의 하나로 하이브리드 자동차 분야, 로봇 분야, 에너지 저장장치 분야에서 새로운 응용분야로 살아남을 길을 찾았다. 이제 당분간 리튬이온 배터리가 환경파괴의 주범보다는 환경보호의 선구자로 나설 것이 확실시된다.
그러나 역시 국제환경규제 사전대응 시스템의 예봉만은 피하지 못할 것이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많이 쓰인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폐기물이 나온다는 말과 같다. 어느샌가부터 우리는 반복사용이 불가능한 1차 전지는 다른 폐기물과 분리하여 따로 모으는 데 익숙해져 있다. 그만큼 환경에 대한 인식이 확고해졌다는 의미다.

그러나 어쨌든 지금 세계의 대세는 리튬이온 배터리다. 그래서 폐 리튬이온 배터리의 올바른 처리방법은 지금부터 고민해야 한다. 화석연료의 환경훼손에 따른 책임처럼 폐 리튬이온 배터리의 처리가 다가올 다음번 환경문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류하영 기자 hyry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