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은행권, 신종자본증권 발행 '봇물'…1석2조 효과 노린다

공유
0

은행권, 신종자본증권 발행 '봇물'…1석2조 효과 노린다

하나금융지주 등 대규모 신종자본증권 발행 결정
금리인상, 바젤Ⅲ 도입 등 앞두고 자본확충 박차

[글로벌이코노믹 최성해 기자] 은행권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국내 빅3 대형은행을 중심으로 자본확충에 열을 올리고 있다. 내년 바젤III 도입이 임박한데다. 금리인상 이전 저렴한 이자로 자금을 확충하려는 안팎의 니즈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KB국민, 신한은행 등 빅2 신종자본증권 잇따라 발행, 발행규모 업


은행권이 연말을 앞두고 자본확충에 열을 올리고 있다. 사이즈가 큰 대형은행 및 지주사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자본확충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지난 6일 3000억원 규모의 10년 만기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을 발행했다. 지난 4월 3000억원 규모의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에 이어 두 번째다.

사채의 표면 및 만기이자율은 2.96%으로 정했다. 이는 국고채 10년 금리에 0.68%를 더한 수준으로 올해 시중은행이 발행한 후순위채권금리 중 가장 낮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일찌감치 표면이자율이 3.70%인 원화 신종자본증권 2000억원 어치를 발행했다.

신한은행은 앞서 해외에서 신종자본증권을 통해 자본조달에 나섰다. .미국, 호주, 아시아, 유럽 등 선진국을 대상으로 지난 3월엔 4억달러 규모로, 지난 8월에 4억 호주달러,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을 발행했다.

지주사도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지난 8월 신한금융그룹의 지주사인 신한금융지주도 4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하나금융지주도 지난 8일 296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지난 3월 발행한 242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에 이은 두번째 발행이다. 영구채구조로 5년 콜옵션을 보유했다. 표면이자율은 4.04%이다. 이를 모두 합치면 올해 자본조달한 신종자본증권발행규모는 약 5000억원에 달한다.

지방은행도도 자본확충에 합류했다. DGB금융지주는 지난달 18일 공시를 통해 자회사 대구은행이 운영자금 1000억원 조달을 위해 국내 무기명식 무보증 무담보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 내년 바젤III시행, 신종자본증권 자본으로 인정…발행금리 등 부메랑


은행권이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피치를 거는 직접적 이유는 당장 내년 바젤III시행을 앞두며 자본확충에 발등의 불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바젤위원회는 자본비율규제를 2013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했다. 바젤 III는 2019년 1월부터 전면시행된다. 이에 따라 규제자본비율은 2013년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보통주자본비율은 4.5%, Tier 1비율은 6.0%, 총자기자본비율은 8.0%로 규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흥미로운 사실은 바젤 III3아래 신종자본증권의 매력이 커졌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신종자본증권이 자본으로 인정되기 때문이다.

신종자본증권은 주식과 채권의 중간적 성격을 갖는 증권으로서 금융당국이 일정요건하에서 기본자본(tier 1)으로 인정된다.

박일문 한국기업평가 연구원은 “보통주와 같이 만기가 영구적이고 배당이나 이자가 확정적이며 은행의 당기 순익상황에 따라 확정수익을 올리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며 “영구성과 손실흡수라는 기본자본의 성격을 띠므로 BIS 자기자본비율 산출시 자기자본 중 기본자본에 포함된다”고 분석했다.

한편 신종자본증권은 보통 후순위채보다 금리가 높다는 점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형지주사보다 사이즈, 실적, 신용도가 밀리는 지방은행의 경우 그 부담은 더 크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신종자본증권 발행시 기존주식의 희석이 없고 주식시장에 물량부담 없이 기본자본 확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며 “하지만 보통 후순위채보다 조달비용이 높아 증자 등 직접적 방식보다 자본의 안정성이 저하돼 지방은행 등 중소형 은행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성해 기자 bad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