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멍완저우 체포사태로 재조명되고 있는 ‘화웨이 급성장의 빛과 그림자’

공유
3

멍완저우 체포사태로 재조명되고 있는 ‘화웨이 급성장의 빛과 그림자’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김경수 편집위원]

휴대전화 기지국 장비납입 실적 세계 1위, 스마트폰 판매대수 세계2위의 대기업 통신기기 메이커 화웨이기술을 둘러싼 알력이 심각화 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 양대 강국이 각각의 자신들의 우호국을 끌어들여 새로운 냉전시대를 부를지도 모르는 사태에 빠져 있다.
직접적인 계기는 캐나다 당국이 미국의 요청에 따라 화웨이의 멍만저우 부회장 겸 CFO(최고재무책임자)를 지난 1일 체포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부터다. 혐의는 이란제재를 위반하면서 거짓 증언을 한 사기죄라고 한다. 시장은 충격을 받아 세계주가의 동반하락으로 발전됐고, 세계에서는 미중 무역전쟁의 완화기대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보도가 잇따랐다.

그러나 FBI(미 연방수사국)과 미국 의회, 백악관 등이 화웨이와 중국에 품은 의혹은 더 오랜 뿌리 깊은 역사가 있다. 사태는 겉으로 보는 것 이상으로 심각하다. 중국도 캐나다인 2명을 구속하는 등 대결태세를 보이고 있어 자칫 잘못하면 과거 미국과 소련처럼 세계가 미·중 두 진영으로 나뉘어 새로운 냉전시대에 진입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호주, 뉴질랜드,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은 이미 미국에 동조할 태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와 아랍권, 중앙아시아 국가, 아프리카국가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세계가 두 동강 나 대치하는 국면이 전개될 수도 있다는 시나리오까지 나오고 있다.

일본에서도 요즈음 어떤 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SIM 프리 모델’로 저가 스마트폰 판매대수에서 톱이 된 것이나, 일본법인이 월 초임 40만 엔이라고는 파격적인 보수를 내세워 인재를 모집한 것이 화제가 되면서 화웨이는 나름대로 지명도를 올리고 있다.

이 통신기기 제조사들은 1987년 인민해방군 출신으로 전 CEO(현 이사)인 런정페이가 인민해방군시절의 동료들과 함께 설립했다. 런정페이는 1944년생으로 44세 때 통신기기 도매판매회사로서 화웨이를 시작했는데, 당시 취급제품의 고장이 너무 잦아 자체제조까지 뛰어들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화웨이는 휴대전화 기지국장비, 라우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주력으로 이미 세계 170개국 이상에 진출하고 있으며, 창업 30여년 만에 전 세계에서 18만 여명의 종업원을 거느린 거대 통신기기 제조업체로 성장했다.

실적도 호조를 보이며 2017년에만 매출 104조3660억 원, 순이익 8조2,050억 원을 벌어들였다. 세계시장 점유율은 휴대전화 기지국장비는 2위 스웨덴의 에릭손(2위), 3위 핀란드의 노키아(3위)를 큰 격차로 제치고 1위에 등극했고, 스마트폰 부문에서도 미국의 애플을 제치고 2위에 올랐으며 선두인 한국의 삼성전자를 맹추격하고 있다.

화웨이 급성장의 비밀은 뭐니 뭐니 해도 제품가격의 군을 뛰어넘는 저렴함이다. 일찍부터 박사학위를 보유한 통신기술자를 적극적으로 대규모 채용하거나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기업들과 적극적인 교류와 제휴를 통해 기술력을 축적해 온 것도 강점으로 꼽힌다.
게다가 성장과정에서 라우터로 압도적 경쟁력을 자랑하던 미 시스코의 부실한 애프터서비스로 각국의 고객(통신사업자)들이 속을 끓이고 있던 것을 계기로, 불편이 일어나면 신속하게 엔지니어가 유지보수로 출동하는 체제를 쌓아 올려 고객을 차례차례로 획득해 왔다. 이는 기지국 자체의 운영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을 설치하는 빌딩의 내진공사도 불필요해지게 되면서 저렴한 요금으로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화웨이의 급성장의 배경에는 이러한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어두운 그늘도 있다. 굳이 중화인민공화국의 ‘화’자를 따 ‘화웨이기술’이라는 정식사명(중국 명)을 자처하면서 경영진과 직원들의 애국심을 강요하고 있다거나, 창업자들이 인민해방군 출신이라 중국공산당으로부터 엄청난 자금지원을 받고 있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았다. 그런 까닭에 화웨이의 제품이 중국당국의 첩보활동에 이용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최근 여러 나라의 단말기 제조업체들이 화웨이 제품의 보안 측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배경도 여기에 있다.


김경수 편집위원 ggs07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