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관료 출신' 김주현 여신협회장 내정자 '당국 소통·임단협' 등 안팎 과제 산적

공유
2

'관료 출신' 김주현 여신협회장 내정자 '당국 소통·임단협' 등 안팎 과제 산적

김주현 차기 여신금융협회장 내정자
김주현 차기 여신금융협회장 내정자
김주현 전 예금보험공사 사장이 차기 여신금융협회장으로 내정됐다.

관료 출신인 그가 차기 협회장으로서 짊어져야 하는 책임감은 막중하다. 회원사인 카드·캐피탈사들이 금융당국의 정책과 경쟁 심화 등으로 입지가 나날이 좁아지고 있어 무엇보다 업계에 우호적인 방향으로 정책적 변화를 끌어내는데 기여해야 한다. 내부적으로는 취임 이후 조직 내 관료 출신 회장에 대한 불안감을 불식시키고 내부 과제 중 하나인 임금단체협약을 순조롭게 마무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7일 여신금융협회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김주현·임유·정수진 후보가 최종 면접을 치른 후 과반수 득표자가 나오지 않아 2차 투표를 거쳐 김주현 전 사장을 차기 여신금융협회장 최종 후보로 선정했다.

김 전 사장은 오는 18일 열리는 회원 총회에서 회원사들의 선택을 받으면 바로 협회장에 취임하게 된다. 지금까지 회추위에서 내정된 후보가 회원총회에서 반대 의견이 나온 사례가 없었던 만큼 사실상 김 전 사장은 차기 여신협회장으로 결정됐다.

김 내정자는 금융당국을 두루 거치면서 경험을 쌓았다. 그는 1958년생으로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행정고시 25회로 최종구 금융위원장과 동기다. 재정경제부 시절에 관세국, 국제금융국 등을 거쳤고, 금융감독위원회 감독정책과장 등을 지냈다. 금융위원회 사무처장까지 역임한 후 2012년부터 약 3년간 예금보험공사 사장을 지냈다. 2016년부터 작년 초까지는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이사로 있었다.

이에 관료 출신인 김 내정자가 최종 후보로 선정된 것도 업계가 그에게 당국과 원활한 소통을 통해 향후 카드·캐피탈업계의 정책적 변화를 이끌어내 줄 것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앞서 한 업계 관계자도 김 내정자에 대해 "(결과적으로) 관료 출신에 대한 회원사들의 수요(요구)가 있었던 것 아니겠냐"며 "(업계는) 향후 금융당국과 소통이 잘되기를 기대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현재 카드·캐피탈업계는 과제가 산적해 있다. 당장 금융당국에서는 ‘카드산업 경쟁력 제고 및 고비용 영업구조 개선방안’에 따른 후속조치가 진행중이어서 이달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가 관심이다. 지난 5일 금융감독원에서는 실무자들이 참석하는 '카드상품 수익성 분석체계 합리화 태스크포스(TF)'가 회의를 열렸다. 해당 TF는 카드상품 수익성에 대해 실무자들이 모여 논의하는 자리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카드사 노동조합 등 업계가 요구한 레버리지 배율(자기자본 대비 총자산 배율), 수수료 하한제 도입의 완화 등이 쟁점 사항으로 있다. 가맹점 수수료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손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 향후 협회장의 어깨가 무겁다.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위한 규제 완화도 고민이다. 카드업계는 지난해 결정된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 올해부터 당장 업계 전체적으로 연간 8000억원의 수수료수익 감소가 예상되고 있고 캐피탈업계는 자동차금융 시장의 경쟁이 심화하고 있어 새 시장 확보가 절실하다. 업계 관계자는 "카드·캐피탈업계 할 것 없이 업계가 어려워지고 있다"며 "캐피탈업계의 경우 시중은행 등이 자동차금융시장에 진입하는 등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캐피탈사들의 운신의 폭을 넓혀주도록 정책적 변화가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여신협회라는 새 조직을 이끄는 수장으로서는 내부 임직원들과 융화돼 조직을 잘 이끄는 리더십을 보여줘야 함과 동시에 예정된 임금단체협상을 순조롭게 매듭짓는 것도 숙제다.

여신금융협회 노동조합은 올해 임금단체협약을 새 협회장인 김 내정자와 결정해야 한다. 현재까지 노조는 구체적인 연봉 인상률과 복리후생조건을 내걸지는 않았으나 처음으로 하는 임단협인만큼 잡음없이 매끄럽게 진행되는 것이 리더로서는 유리하다. 여신금융협회 직원 연봉은 지난해 '동결'됐다. 정태옥 자유한국당 의원실에 따르면 협회 직원 연봉은 2016년 기준으로 평균 5500만원 수준이다.

앞서 올해 초 저축은행중앙회는 회장 선거 직후 신임 회장과 중단됐던 임단협을 재개했는데, 중앙회와 노조는 임단협 조건과 지배구조 문제 등으로 갈등이 빚어지면서 파업 직전까지 가는 일촉즉발의 상황에 직면하기도 했다.


이효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h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