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애플 이어 HP·MS·구글 줄줄이 중국 떠난다···中 생산량 감축 동남아로

공유
0

[글로벌-Biz 24] 애플 이어 HP·MS·구글 줄줄이 중국 떠난다···中 생산량 감축 동남아로

HP,MS,구글 등이 중국내에서 생산하던 노트북 등 하드웨어 생산량을 줄여 다른 동남아 국가로 옮길 것으로 알려졌다. 규모는 30퍼센트 가량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사진=HP)이미지 확대보기
HP,MS,구글 등이 중국내에서 생산하던 노트북 등 하드웨어 생산량을 줄여 다른 동남아 국가로 옮길 것으로 알려졌다. 규모는 30퍼센트 가량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사진=HP)
애플에 이어 HP·마이크로소프트(MS)·구글 같은 IT업체들이 중국내 자사 하드웨어(HW)제품 생산을 줄일 계획이라고 니케이·애플인사이더 등이 4일 보도했다.

이들업체는 그동안 중국서 생산해 온 게임기에서부터 노트북, 스피커까지 이르는 다양한 기기를 더 이상 중국에서 생산하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배경에는 주로 미중 무역분쟁에따른 관세회피가 자리하고 있지만 를 회피하는 것이지만 최근의 가격변동도 반영하고 있다.
애플인사이더는 3일(현지시각) 소니, 델, 닌텐도를 포함한 다른 회사들은 미국의 관세 때문에 콘솔과 스마트 스피커 같은 장치의 제조를 중국에서 이전할 계획이다.

HP는 중국에서 노트북과 다른 기기들의 생산을 옮기는 많은 회사들 중 하나이다.

구글, MS,HP같은 회사들은 게임 콘솔에서 노트북, 스피커에 이르는 단말기 생산을 중국 밖에서 하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유는 주로 미중무역전쟁에 따른 관세를 회피, 그리고 최근 널뛰는 가격 앙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소니, 델, 닌텐도 같은 회사들도 게임콘솔과 스마트스피커 생산공장을 중국밖으로 옮길 것으로 알려졌다. 역시 중국내 자사 생산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하는 높은 관세벽을 피하기 위해서다.

익명의 중국 지방 정부 관계자는 니케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생산비 상승은 이미 글로벌 주문감소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여기에다가) 미중 무역전쟁과 관련된 불확실성까지 겹쳐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닛케이신문은 HP가 중국내 생산량의 20%~30%를 중국 밖으로 이전할 계획을 준비했다고 보도했다. 주로 노트북 컴퓨터를 만드는 이 회사는 태국이나 대만에서 새로운 공급망을 만들 것을 고려하고 있다. 델또한 대만을 살펴보았고 베트남과 필리핀에서 노트북을 시험생산했다.
마찬가지로 아마존은 킨들과 에코 제품을 대체 생산할 공장으로 베트남을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닌텐도 또한 베트남을 고려하고 있으며, MS는 태국과 인도네시아를 알아보고 있다.

이같은 계획은 지난 주 말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예상치 못한 휴전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르손 치우 대만 경제연구원의 무역 경제학자는 닛케이와의 인터뷰에서 “돌아갈 수 없다. 관세뿐만 아니라 (노동비 상승 등) 장기적인 리스크를 줄이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동남아 국가들과 인도는 앞으로 몇 년 안에 전자제품 생산을 위한 새로운 경쟁 허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닛케이에 따르면 이 업체들은 수개월 전부터, 경우에 따라서는 애플보다 먼저 기획해 왔다.

익명의 한 공급망 임원은 “산업계의 합의는 평균 30%의 생산량을 중국에서 철수시키는 것이며 모든 사람들이 대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애플은 계획을 공식화하는데 있어 가장 마지막이자 가장 느린 반면, 다른 모든 사람들은 훨씬 더 공격적이다”라고 덧붙였다.

앞서 애플은 지난해 말부터 이 같은 전환을 계획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또한 최근에 는 이와 정반대로 맥프로를 중국에서 생산하게 될 것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애플과 대부분의 회사들은 닛케이 보도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에이서와 에이수스텍은 그러한 가능성에 대한 조사중이라고 확인했다.

보도에 따르면 델은 이같은 중국내 생산 변화에 대해 직접적 언급을 피했지만 무역 분쟁이 끝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델 대변인은 “우리는 미국과 중국 정부가 미해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를 계속하도록 장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k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