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전 '적자 2조4천억' 최악상황 현실화? 상반기 영업손실 1조2천억 예상

공유
3

한전 '적자 2조4천억' 최악상황 현실화? 상반기 영업손실 1조2천억 예상

1분기 6천억대 이어 2분기도 3천억~6천억 적자 전망...한빛1호기 사고 결정적 요인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 수용 따른 요금제 개편·산업용전기 인상 손실보전에 '정부 무반응'

한국전력 나주 본사 사옥. 사진=한국전력공사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전력 나주 본사 사옥. 사진=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한전)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적자가 1조 원대에 이르며 '사상 최악'을 기록할 전망이다.

10일 업계와 증권가에 따르면, 한전의 올해 상반기 영업 손실은 최대 1조 2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의 역대 상반기 영업 손실 기록 가운데 사상최대 규모이다.
한전은 지난 1~3월 1분기에 이미 6299억 원의 역대 1분기 최대 영업적자를 보였다.

증권가에서는 4~6월 2분기에도 큰 폭의 영업손실을 전망한다. 증권사 별로 적게는 3000억 원, 많게는 6440억 원까지 영업손실이 났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전은 지난 2016년 12조 원의 영업이익을 냈지만, 2017년 4조 9000억 원으로 줄었고 급기야 지난해 2080억 원의 영업손실로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환했다.

올해 초 한전은 내부문서를 통해 올해 2조 4000억 원의 영업적자가 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당시 한전은 이 예측치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했을 때의 수치라고 애써 해명했지만, 시장의 올해 상반기 전망대로라면 최악의 상황이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업계에서는 한전의 2분기 적자 원인으로 지난 5월 발생한 영광 한빛 1호기의 수동정지 사고를 꼽고 있다.

사고로 한빛 1호기의 가동이 무기한 연기되면서 원전 가동률을 높여 발전비용을 줄이려는 한전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하반기에도 적자 '개선요인'보다 '악화요인'이 더 많다는 점이다.

한전은 정부의 압박에 못이겨 이달부터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난 1일 한전 이사회가 의결한 필수사용공제 폐지, 누진제 폐지, 에너지복지혜택 분리 등 요금제 개편안에는 산업자원통상부가 정부 내 협의가 없었다고 밝혀 한전이 누진제 완화의 반대급부로 기대한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을 일축해 버렸다.

한전 이사회는 올해 11월까지 전기요금체계 전반의 개편안을 마련해 정부에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최근 일본의 수출규제로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추진마저 쉽지 않아 보인다.

산업계는 반도체, 철강, 석유화학 등 전기를 많이 쓰는 에너지 다소비 업종 중심의 국내 산업구조 특성상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신중해야 한다며 사실상 반대 입장을 줄곧 견지해 왔다.

최근 한전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신고한 한전기술과 한전산업개발 지분 매각 계획도 한전기술이 원전설계 전문기업으로서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계획대로 지분 매각이 이루어질 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그대로인데 전기요금 현실화도 기약없는 실정이라 하반기에도 상반기 못지않은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도 "정부가 한전의 실적 하락은 고유가 영향 때문이지 탈원전 정책과는 전혀 무관하다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는 것은 향후 한전 해외주주가 제기할 지도 모르는 국제소송(ISD)을 감안한 발언"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투자자-국가소송제(ISD)는 해외투자자가 상대국의 법령·정책 등에 의해 피해를 입었을 경우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정부가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실적이 악화됐다고 인정하면 추후 있을지 모를 소송에서 결정적으로 불리해진다는 의미다.

반면에 최근 석탄가격 하락, 원전 가동률 상승 등 단기 반등 요인이 갖춰진 만큼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보다 양호하게 나올 수 있다는 '희망적 전망'도 나오고 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