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중국, 외국자본 이탈 우려 美 국채 투매 못해

공유
0

[글로벌-Biz 24] 중국, 외국자본 이탈 우려 美 국채 투매 못해

미-중 환율전쟁서 보복수단으로 쓰고 싶지만 득보다 실

미중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 비화하면서 글로벌경제에 '퍼펙트 스톰'이 몰려오고 있다.이미지 확대보기
미중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 비화하면서 글로벌경제에 '퍼펙트 스톰'이 몰려오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까지 확전 양상을 띠면서 일각에선 중국이 갖고 있는 미국 국채를 대량 매도하는 극단적 보복에 나설 수 있다는 얘기들이 또 다시 나오고 있다.

미국 CNN방송은 7일(현지시간) 중국의 보복 시나리오를 다룬 기사에서 중국이 분쟁의 결판을 보기 위한 최후의 무기인 '핵옵션'으로 미국 재무부 채권을 매도할 가능성을 ​꼽았다.
CNN은 "이론상으로는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1조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 가운데 일부를 팔아 치워 채권시장에 패닉을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미국이 최근 미국 수입품 전체로 고율관세를 확대하겠다는 경고를 내놓자 이에 대항해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중단한 데 이어 위안화 약세를 방치하는 방식으로 환율을 무기화하고 있다.

미국은 이에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한편 추가관세도 계속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그러나 인민은행 고시환율도 달러당 7위안 이상으로 설정하는 등 대미 강경노선을 견지하고 있다.

중국의 극단적 보복 수단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다시 나오는 것도 이처럼 미중 무역전쟁의 강대강 대치국면이 장기화할 조짐이 뚜렷해진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도 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미국 국채를 대량 매각하는 방안을 가용한 보복수단으로 주목했다.
중국의 미국 국채 매도설은 미중 통상관계가 악화할 때마다 제기됐던 시나리오다. 하지만 그때마다 실현성이 희박하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미국 못지않게 중국에 돌아갈 피해도 막대하기 때문이다.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 국채를 대거 팔면 채권 시장에 공급량이 늘어 국채 가격이 내려가고 수익률(금리)이 급격하게 상승한다.

국채 금리는 기업과 가계의 부채 이자를 정하는 기준이 되는 까닭에 미국 회사채, 주택담보대출, 자동차담보대출 등을 갚는 데 드는 비용이 늘면서 미국 경제성장이 타격을 받는다.

그러나 중국도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 국채 가격은 반대로 하락하기 때문에 자신들이 매도하고 남은 국채에서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또 투매에 따른 결과가 중국이 현재 추진하는 전략과는 맞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위안화 약세를 통제해 자본탈출을 막기 위해 미국 국채를 사들이는 방식을 이용하려고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중국의 매도로 미 국채가격이 크게 떨어지면 다른 외국 자본이 미국 국채로 몰려가면서 자국 주식 및 채권 시장에서 외국 투자를 유치하려는 중국에겐 오히려 독이 될 가능성이 크다.

컨설팅 기업 유라시아그룹의 마이클 힐슨은 "중국은 무역전쟁 동안 위안화 환율을 방어하기 위해 외국자본 유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독일과 일본 등 선진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이미 마이너스(-)인 상황에서 중국이 미국 국채 외에 다른 투자처를 찾기가 마땅치 않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IHS마킷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나리먼 베라베시도 보고서에서 "일각에서는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 국채의 많은 부분을 팔 수 있다고 우려하지만, 이는 미국보다 중국을 더 해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이 피해를 감수하더라도 지금보다 더 강력한 보복을 가하려고 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미국 CNBC 방송에 따르면 노무라 증권의 수석 금리 전략가 마츠자와 나카는 "많은 투자자가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막기 위해서라면 경기침체마저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 구매 중단부터 위안화 환율 무기화까지 자국에도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보복 조치들을 행하는 것은 내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막아 민주당 출신 대통령과 더 나은 무역협상을 하겠다는 포석이라는 설명이다.


김환용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khy031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