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데스크 칼럼] '제7광구'의 꿈…그대로 멈출 것인가?

공유
1

[데스크 칼럼] '제7광구'의 꿈…그대로 멈출 것인가?

이재구 정보과학기술부장
이재구 정보과학기술부장
나의 꿈이 출렁이는 바다 깊은 곳/흑진주 빛을 잃고 숨어 있는 곳/제7광구 검은 진주 제7광구 검은 진주...’

1980년 가수 정난이가 불러 국민적 화제로 떠오른 가요 ‘제 7광구’의 첫 부분이다. 국민들을 산유국의 꿈에 부풀게 만든 그녀는 스타덤에 올랐다. 2011년 하지원·안성기 주연의 SF영화 ‘7광구’가 등장하면서 다시금 희미했던 산유국의 꿈을 일깨웠다. 제 7광구 석유 시추선을 괴물이 공격한다는 내용으로 200만 관객동원에 성공했다. 자원외교를 내세우던 이명박 정부 시절이었다. ‘제 7광구’가 최근 불거진 한일 외교·무역 분쟁 속에서 새삼 관심을 끌고 있다. 제주도에서 이어도 남쪽으로 향한 남한 면적의 80%쯤 되는 해역이다. 오는 2028년 한일 공동개발 시한이 만료되면 일본 영해로 들어갈 공산이 커지고 있다. 또다른 분쟁의 씨앗이 자라고 있다. 1970년 박정희 대통령 시절 우리 영해로 선언한 후 양국이 공동 개발에 합의했지만 일본의 거부로 더 이상 개발되지 않고 있다.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 영해에 과연 석유가 묻혀있느냐다. 자료를 찾아보니 BBC 등 외신, 그리고 국내 종편에 출연한 전직 북한 외교관들까지 북한과 외국 석유업체 간의 유전찾기 노력, 그리고 수백억 배럴의 저장량 추정치에 대해 증언했다. 우리나라 서해 대륙붕 석유 부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포항 앞바다에선 이미 가스가 채굴돼 국내에 공급되고 있어 그 가능성과 기대치를 더욱 높여주고 있다. 석유탐사에서 시추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시추 지점 선정이라고 한다. 이 작업이 유독 어렵다.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젊은 시절 파면 나왔다는 텍사스 유전과도 또 다르다. 세계 석유메이저들은 유전 탐사·해석에서 시추,채굴까지 독식하고 있다. 통상 조광권(탐사권+채취권)을 확보한 후 그 나라 정부와 50:50으로 지분 참여한다. 올해 울릉도 유전 개발로 한국에 재진출한 호주 우드사이드도 마찬가지다. 석유가 나오면 반씩 나눈다. 이 회사가 이렇게 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는 탐사데이터 해석 기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서울대에서는 이와 관련한 흥미로운 행사가 열렸다. 이른바 유전탐사데이터 해석 소프트웨어(SW) 상용화 발표회였다. 유전 탐사 데이터, 즉 탐사선을 통해 해저에 쏜 후 반사된 음파 데이터로 실제와 거의 똑같은 유전 지질도를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SW와 슈퍼컴퓨팅 기술을 개가다. 전 세계 그 어느 석유메이저보다 빠르게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슈퍼컴퓨팅 자원이 부가되면 해석시간은 더 빨라진다. 그렇다면 이명박 대통령 시절 자원외교 파탄의 결정적 원인이었던 해외 유전의 낮은 경제성문제를 풀 열쇠가 등장한 셈이다. 무턱대고 유전 개발 계약을 체결했는데 파보니 아니더라는 식의 과거 실패사례는 더 이상 없다는 의미다. 미리 유전 탐사데이터를 해석한 ’(석유 매장 지질도)을 보고 개발계약을 체결하게 될 것이기에.

문재인 대통령의 친환경 에너지정책에 따라 우리나라 원전이 멈춰서기 시작했다. 그런데 에너지 공기업 한전은 올 상반기에만 9200억 적자를 기록했다. 태양광과 풍력에 25000억원을 썼다고 한다. 이 발전방식의 에너지 변환 효율이 극히 낮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대로다. 원전이 싫고 친환경은 답이 아니라면 우리나라 주변의 유망한 해저유전을 독자 탐사·해석해 채굴하는 방안도 생각해 봄 직 하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111600만 배럴의 석유를 수입했다.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초강대국 미국조차 석유에 셰일석유까지 나오자 국제전략조차 바꿀 정도로 변했다. 막강한 에너지의 힘이다. 김정은이 중단거리 방사포와 미사일을 마구 쏘아대는 것도 북한 서해안 대륙붕 유전 잠재력을 믿고 그러는지도 모른다.


이재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k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