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코트라 해외무역관 지사화 사업, 수출기업 인기 높지만 정부예산 3년째 '제자리'

공유
1

코트라 해외무역관 지사화 사업, 수출기업 인기 높지만 정부예산 3년째 '제자리'

작년 3444개 기업 서비스 이용 3조원 이상 수출 성과...기업은 年300만원 부담 '가성비 우수'
"지원 늘려달라" 현장 목소리 불구 예산 210억 수준 한계, 전담직원 교육 향상 등 개선도 필요

권평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사장(앞줄 왼쪽에서 10번째)이 26일 서울 염곡동 KOTRA 본사에서 열린 '지사화사업 전담직원 방한교육'에 참가한 직원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KOTRA이미지 확대보기
권평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사장(앞줄 왼쪽에서 10번째)이 26일 서울 염곡동 KOTRA 본사에서 열린 '지사화사업 전담직원 방한교육'에 참가한 직원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가 운영하고 있는 '해외무역관 지사화 사업'이 투입예산 대비 효과가 우수하고 이를 이용하는 수출기업의 만족도도 높지만 정부 예산의 3년째 사실상 동결상태에 머물러 서비스 확대를 바라는 기업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일 코트라와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코트라는 지난 2000년부터 운영해 온 '해외무역관 지사화 사업'을 이달 1일부터 확대 운영키로 했다.
기존 연 5회로 제한돼 있던 서비스 신청기간을 연중 수시로 확대하고 개별 기업별로 신청 가능한 해외무역관 수를 기존 8개에서 10개로 확대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또 고용창출 우수기업 등 정부의 정책우대기업을 12개까지 선택해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전담직원과 기업간의 소통도 더욱 활성화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달 26일 코트라는 전 세계 무역관에 근무하는 113명의 지사화 전담직원을 한국으로 불러 서울 서초구 코트라 본사에서 '2019년 하반기 지사화 전담직원 교육'을 했다.

코트라는 지사화 전담직원의 교육과 관리를 위해 매년 두 차례 이들을 한국으로 불러들여 교육한다.

이번 교육에는 세계 56개국 78개 무역관에 근무하는 113명의 지사화 전담직원이 참여했으며 27~30일 전국에 위치한 지사화 사업 고객기업 750개사의 현장을 방문해 수출확대 방안도 논의하도록 했다.

지사화 사업은 코트라가 2000년부터 시작한 수출·마케팅 지원사업으로 외국에 지사를 설치할 여력이 부족한 국내 중소·중견기업을 대신해 코트라 해외무역관이 직접 한국 회사의 지사 역할을 해주는 코트라의 대표적인 중소기업 수출지원 사업이다.
사업명처럼 코트라 해외무역관이 중소기업의 '지사화(化)' 역할을 맡아 현지시장 조사, 바이어 발굴, 수출계약 지원, 인허가 취득지원, 브랜드 홍보 등을 수행해 준다.

이를 위해 코트라는 전 세계 129개 현지 무역관에 약 500명의 '지사화 전담직원'을 두고 있다. 이들은 한국인 또는 현지인으로 구성된 코트라 소속 직원이다.

지난해에는 3444개의 중소·중견기업이 이 서비스를 이용해 총 27억달러(약 3조 2400억 원)의 수출계약을 맺는 성과를 올렸다. 기업당 1년에 평균 9억 4000만원어치의 수출계약을 안겨주는 효과를 거둔 셈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업당 연간 300만 원 안팎의 '서비스 이용료'를 내야 한다. 해외에 상주직원을 두기 어려운 중소·중견기업으로서는 '가성비' 좋은 지원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일부 기업은 10년 넘게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등 많은 기업이 수년씩 연속해서 이용하고 있고 이용기업의 만족도도 높은 편이다.

그러나 정말 '지사'처럼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양적·질적 확대를 바라는 수출기업들의 목소리가 높지만 정작 코트라는 사업예산의 제약 때문에 이같은 현장의 목소리를 알면서도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사화 사업 전담직원 1인당 평균 7개 기업을 맡고 있다. 그렇다보니 특정 중소기업이 현지 바이어와의 급한 미팅이나 연락이 필요할 때 자신의 전담직원이 다른 업체와 동행출장 등 다른 스케줄을 수행하고 있으면 자신의 바이어와 연락할 길이 막막해진다.

한 전담직원이 휴가를 가면 다른 직원이 커버해 주는 백업 시스템이 있긴 하지만 스케줄이 겹칠 경우를 모두 커버할 만큼의 백업 직원은 갖추지 못하고 있다.

코트라가 이 사업에 쓰는 예산은 연간 약 210억 원 규모로 이는 전액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예산편성과 국회의 동의를 거쳐 집행된다.

여기에 개별 이용기업의 '서비스 이용료' 총 90억 원을 합쳐 코트라는 1년에 약 300억 원 가량을 이 사업에 사용한다.

사실상 사업비의 대부분을 전담직원 인건비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담직원이나 백업직원을 늘리기 위해서는 예산 증액이 따라야만 한다.

문제는 전담직원이나 백업직원의 확충을 바라는 요구가 많고 실제 수출계약 체결 등 사업효과도 좋은데 정작 정부예산은 3년째 거의 동결돼 있다는 점이다.

코트라 관계자는 "과거에는 전담직원 1인당 10개 기업을 맡았지만 그나마 1인당 7개 기업까지 줄어든 것"이라며 "전담직원 1인당 맡는 기업 수가 5개 정도는 돼야 보다 밀착지원이 가능한데 아직은 그렇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9월 1일부터 시행하는 서비스 고도화·정교화 계획도 별다른 예산증가 없이 신청기간 확대 등에 그쳐 고객기업의 갈증을 풀어주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내년 정부가 확대예산을 편성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중소기업 수출지원에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는 이런 지사화 사업같은 곳에 예산을 늘려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업계 한 켠에서는 정부의 예산 확대와 함께 코트라 자체의 채용방식 개선이나 전담직원 교육강화 노력도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다른 중소기업 관계자는 "일부 전담직원은 한국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현지인이라 현지 출장 때마다 영어회화가 가능한 직원을 파견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면서 "어떤 전담직원을 만나느냐에 따라 업무능력, 열의 등 서비스의 질에 현저한 차이가 난다. 코트라는 전담직원 채용과 교육에 좀더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고 꼬집어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