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맥킨지, “글로벌 경기둔화 속 아시아 ‘부채폭탄’ 위험 수위”

공유
0

맥킨지, “글로벌 경기둔화 속 아시아 ‘부채폭탄’ 위험 수위”



글로벌 경기 둔화가 심화되면서 아시아 주요국가의 부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2일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는 '아시아 금융체계의 스트레스 징후' 보고서에서 1990년대 말 아시아를 강타한 경제 위기의 재발 가능성을 우려했다.

맥킨지에 따르면 중국, 인도, 호주, 홍콩, 인도네시아는 장기 회사채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1.5 미만인 기업이 발행한 채권의 비율이 2017년 25%를 넘었다.

이자보상배율은 이자와 세금을 내기 전의 기업 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1.5 미만이면 이자를 내기에도 벅찬 상황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이던 2007년 당시와 비교하면 중국은 이 배율이 21%포인트 높은 37%, 호주는 6%포인트 오른 27%, 인도는 30%포인트 상승한 43%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로 2007년보다 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맥킨지는 말레이시아, 한국, 태국, 상가포르는 이자보상배율 3 미만인 기업들이 발행한 장기채 비율이 40% 이상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원금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맥킨지는 한국과 호주의 가계부채가 지속하기 어려운 만큼 높은 수준으로 누적됐다는 점도 취약점으로 지적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는 호주가 123%, 한국이 97%다.

중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51%이지만 2010년 이후 매년 부채가 20% 정도씩 증가한 만큼 우려 대상으로 지적됐다.

맥킨지는 은행 수익성이 떨어져 부실화 위험이 큰 비제도권 대출, 외화표시 채무가 증가한다는 점도 우려했다.

아시아 은행의 평균 자기자본에 대한 수익률(ROAE)은 2010년 12.4%에서 작년 10%까지 떨어졌다.

맥킨지는 "실제로 위기를 촉발할지는 지켜볼 일"이라면서도 "정부와 기업은 잠재적 위기 촉발 요인들을 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