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거대한 흐름' 신재생에너지, 공기업이 물꼬 튼다

공유
1

'거대한 흐름' 신재생에너지, 공기업이 물꼬 튼다

한국 2030년 비중 20% 목표...에너지공기업 수소·태양광 등 마중물 역할 주력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30일 전북 군산시 유수지 수상태양광 부지에서 열린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30일 전북 군산시 유수지 수상태양광 부지에서 열린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석유·천연가스 등 화석에너지에서 수소·태양광 같은 신재생에너지로 옮겨가는 거대한 시대 흐름 속에서 주요 선진국들은 에너지 전환기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가장 앞서 있는 미국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이 국가 전체 발전량의 약 23%를 차지하며 지난 2017년 원자력 비중을 넘어선데 이어 올해 4월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석탄발전의 전력 비중까지 넘어섰다.
유럽연합(EU)은 지난해 12월 신재생에너지 지침(RED)을 개정해 기존에 내년까지 EU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 중 재생에너지 비중을 '20%까지' 높이기로 했던 지침을 오는 2030년까지 '32%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

수소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를 꿈꾸는 일본은 수소사회 실현을 위해 최근 경제산업성이 '수소·연료전지기술 개발전략'을 발표하고, 내년 수소산업 관련 예산을 올해보다 약 30% 늘려 편성하기로 했다.

호주 재생에너지청 역시 최근 발표한 '신재생에너지 신규투자계획'에서 전력계통 대응, 수소산업 육성 등에 집중 투자하겠다는 국가 방침을 밝혔다.

우리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 따라 전체 발전량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17년 6.2%에서 오는 2030년까지 20%로 늘린다는 비전을 천명했다.

지난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해 수소연료전지차 등 육성계획을 밝혔으며, 오는 23~2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산업통상자원부·서울시·21세기 재생에너지 정책네트워크(REN21) 주최, 한국에너지공단 주관의 '세계재생에너지총회'를 개최하고,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전세계에 소개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는 대표적인 '분산형 에너지'로서 전국 각지에서 지방정부, 기업 등 많은 주체들이 개발과 보급에 힘쏟고 있다.
그러나 수소의 대규모 저장시설과 공급망, 대규모 간척지의 수상태양광, 먼바다의 해상풍력 등 대규모 인프라를 비롯해 수소액화기술과 같은 첨단기술을 필요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관련 기반 인프라와 기술 노하우를 갖춘 에너지 공기업이 주도하는 것이 정책과 산업 측면에서 효율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이다.

실제로 많은 주요 에너지 공기업들이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가장 선두에 서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에너지 선진국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부문에 민관 차원의 더욱 과감한 연구개발(R&D) 투자와 전력계통망 확대, 관련 지원법 제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본지는 ▲수소 ▲태양광 ▲풍력·바이오매스로 나눠 3회에 걸쳐 우리나라 주요 에너지 공기업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중심으로 전문가 기고, 에너지 공기업과 협업하는 우수 중소기업 사례 등을 집중 소개한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