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제조업 생산라인, 베트남 등 '아세안'으로 옮긴다

공유
0

제조업 생산라인, 베트남 등 '아세안'으로 옮긴다

이미지 확대보기
제조업 생산라인이 중국에서 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로 급속히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전경련에 따르면 전체 해외투자 중 중국 비중은 2001~2010년 43.2%에서 2011년~2019년 상반기 31.0%로 12.2%포인트 낮아진 반면, 같은 기간 아세안 비중은 13.4%에서 21.4%로 8%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신설 법인 기준으로는 중국의 비중이 2001~2010년 64.6%에서 2011년~2019년 상반기 28.4%로 낮아진 반면, 아세안 비중은 13.5%에서 37.7%로 상승, 중소 제조업의 아세안 생산라인 이전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베트남 집중경향은 더욱 두드러져서 전체 제조업의 해외투자 중 베트남 비중은 90년대 3.7%에서 2017년 11.9%로 확대됐다.

이중 제조 중소기업의 베트남 투자는 2014년 중국을 역전한 이후, 2017년에는 대중국 투자 4억3000만 달러보다 1.7배 많은 7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같이 생산라인이 옮겨가는 이유는 우리보다 20% 이하 수준의 낮은 인건비 때문이다.

싱가포르와 브루나이를 제외한 아세안 8개국의 제조업 근로자 임금 수준은 우리나라의 6~2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은 하이테크 산업의 경우, 과세소득발생일로부터 4년간 법인세 면제, 이후 9년간 법인세 50% 감면 등 파격적인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7월에는 베트남 총리가 직접 나서 삼성전자에 공장부지 임대료 면제, 호치민 가전공장에 전용 전력 공급선을 제공한 바 있다.

높은 경제성장률과 젊은 인구의 비중이 높다는 점도 배경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아세안 5개국(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은 2010~2018년 평균 5.3%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들 5개국의 세계 GDP 비중은 2007년 4.6%에서 2018년 5.5%로, 교역 비중도 3.5%에서 4.5%로 확대됐다.

20∼54세 젊은 인구의 비중이 50%를 넘는 등 소비시장으로서의 잠재력 또한 큰 것으로 지적됐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