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중국 광물업계, 북한 희토류에 ‘눈독' 왜?

공유
2

[글로벌-Biz 24]중국 광물업계, 북한 희토류에 ‘눈독' 왜?

중국 지난해 희토류 순수입국 전환...북한 2.1억t 매장 주장

중국 광물업계가 북한 희토류에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 2006년 3월 채택한 대북 결의 2270호를 통해 북한의 희토류 수출을 전면 금지한 만큼 안보리 제재가 완화 또는 해제되지 않으면 중국 업체가 북한으로 들어가 희토류를 채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중국 광물업계는 유엔 제재 완화를 학수고대하고 있다. 이는 중국이 지난해 희토류 순수입국으로 전환한 데다 환경 규제로 중국 광물업계가 새로운 공급처를 찾고 있는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항만 전경. 사진=마이닝닷컴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의 희토류 수출 항만 전경. 사진=마이닝닷컴

중국의 금속광물업계 전문 매체인 ‘금속망’이 지난달 30일 ‘북한이 중국에 희토류 광산채굴권을 제안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실었다고 미국의소리방송(VOA)이 4일 전했다.

VOA에 따르면, '금속망'은 소식통을 인용한 이 기사에서 중국이 평양의 태양광 발전소를 투자∙건설하면 그에 상응해 중국이 평안북도 철산군의 희토류 채굴권을 획득할 수 있다는 내용이 북중 간 무역문서에 적시돼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10월에도 비슷한 내용의 언론 보도가 있었지만 중국 외교부는 "들어본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이후 중국 광물업계는 관련 소식을 확대재생산하며 북한 희토류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 조지타운대학교에서 동아시아 지역 경제체제를 가르치는 윌리엄 브라운 교수는 희토류를 둘러싼 중국 업계 내 경쟁이 배경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브라운 교수는 "희토류는 중국에도 풍부하지만 경쟁이 심해지면서 중국 업체들이 새로운 공급처를 찾기 시작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지난해 1985년 이후 처음으로 희토류의 순수입국이 됐다. 9만8400t의 희토류를 수입한 반면, 5만3000t을 수출했다. 중국의 주요 6개 희토류 생산업체는 지난해 총 12만t의 희토류를 생산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 세계 희토류 공급량의 70%에 육박하는 최대 희토류 생산국인 중국이 순수입국이 된 것은 중국 정부의 움직임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업계 구조조정을 추진한 데다 불법 채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 요인이 크다는 분석도 있다. 중국 내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토양과 수질, 대기 오염과 방사능 노출까지 동반하는 희토류 개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한 데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브라운 교수는 일부 중국 업체들이 희토류 생산에 필수적인 '지저분한' 작업을 북한에서 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희토류 생산은 심각한 오염이 뒤따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작업 공정을 중국이 아닌 북한에서 진행하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북한 당국은 지난 2015년 대외용 웹사이트인 '조선의 오늘'에서 북한 지역에 묻혀 있는 희토류의 양이 2억1600만t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이는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올해 초 발표한 전 세계 희토류 매장량 1억2000만t의 거의 2배에 이르는 규모이다. USGS에 따르면 미국에는 140만t, 중국에는 4400만t의 희토류가 매장돼 있다.

유엔 안보리는 2006년 3월 채택한 대북 결의 2270호를 통해 북한의 희토류 수출을 전면 금지했다. 안보리 제재가 완화 또는 해제되지 않으면 중국 업체가 북한으로 들어가 희토류를 채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브라운 교수는 "제재가 완화되기도 전에 희토류를 둘러싼 북중 간 논의가 활발한 조짐이 보인다"면서 "제재가 완화되면 북한이 곧바로 희토류 시장을 개방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고 말했다.


박희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cklond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