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위기 속 ‘이재용式’ 경영 속도낸다

공유
1

위기 속 ‘이재용式’ 경영 속도낸다

이 부회장, 지난 18일 발렌베리 회장과 사업 협력 논의
경영진 부재 등 어수선한 분위기에도 ‘경영 행보’ 박차
노조 사과문 발표 등 주요 현안에 적극적인 대응
선대 ‘무노조 원칙’ 사실상 폐기, 빨라지는 결단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오후 발렌베리그룹의 오너이자 스웨덴 금융그룹 SEB 대표인 마르쿠스 발렌베리 회장과 만나 5세대(G)이동통신과 인공지능(AI) 등 양사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삼성전자이미지 확대보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오후 발렌베리그룹의 오너이자 스웨덴 금융그룹 SEB 대표인 마르쿠스 발렌베리 회장과 만나 5세대(G)이동통신과 인공지능(AI) 등 양사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의 연이은 ‘재판 변수’ 속에 이재용 부회장이 흔들림 없는 경영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 부회장은 파기환송심 재판에 이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재판, ‘삼성 2인자’로 꼽히는 이상훈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과 강경훈 부사장 등이 법정구속되며 내부가 어수선한 상황이지만 결단력 있는 위기관리 리더십을 보이고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 18일 방한한 마르쿠스 발렌베리 스톡홀름엔스킬다은행(SEB) 회장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이 부회장과 발렌베리 회장은 인공지능(AI), 자율시스템, 5세대(G) 이동통신 분야 등에서 양 사간 협력 방안에 대한 폭넓은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기업 지배구조 등 경영 현안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부회장과 발렌베리 회장의 공식 만남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 2012년 이 부회장이 발렌베리 회장을 리움미술관으로 초청해 만찬을 함께 하기도 했다. 삼성은 스웨덴 은행 SEB와 통신장비업체 에릭슨, 가전업체 일렉트로룩스,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 등 100여 개 기업을 소유하고 있는 발렌베리 그룹과 무선통신, 바이오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AI, 5G 사업 등은 이 부회장이 전략적으로 집중하는 분야로, 이번 회동을 계기로 삼성과 발렌베리간 협력이 가속도가 붙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삼성측은 이달 초 이 부회장과 발렌베리 회장간 회동 관측에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당시 3차 공판을 앞둔 민감한 시점에서 삼성 지배구조와 유사한 스웨덴의 거대 그룹 회장과의 만남이 자칫 여론에 부정적으로 비쳐질 수 있어서다.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글로벌 인사들과 스킨십을 늘려왔던 만큼 이번 발렌베리 회장과의 만남도 같은 연장선상이다. 하지만 일련의 과정을 짚어보면 ‘이재용式 경영철학’이 담겨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연이은 노조 관련 재판으로 삼성그룹과 삼성전자 등 계열사 전현직 임원들이 무더기로 유죄 선고를 받은 데다 이 부회장의 파기환송심 재판에 내부는 뒤숭숭한 분위기다. 이러한 가운데 이 부회장이 거듭 ‘미래 먹거리’를 모색하는 행보는 총수로서 흔들림 없는 리더십을 표현하는 동시에 일희일비 하지 말고 업무에 전념해 달라는 내부를 향한 메시지로도 풀이된다.

총수로서의 이 부회장의 결단도 빨라지는 모습이다. 최근 삼성 노조 설립 방해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직후 삼성그룹 차원의 사과문은 이 부회장의 결단 없이는 사실상 불가능한 사안이다. 항소심 등을 앞두고 형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각적인 삼성의 사과문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과거 노조 현안에 있어서 미온적으로 대응해 왔던 태도와는 사뭇 다르다.

삼성전자와 삼성물산은 지난 18일 “노사 문제로 인해 많은 분들께 걱정과 실망을 끼쳐 드려 대단히 죄송하다”며 “과거 회사 내에서 노조를 바라보는 시각과 인식이 국민의 눈높이와 사회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음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라고 고개를 숙였다.

무노조 경영원칙이 이병철 선대 회장에 이어 이건희 회장 등 80년간 이어져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무노조 원칙 폐기는 ‘삼성 총수’로서 이 부회장의 경영철학이 반영된 결과로 보는 해석이 많다.

이는 이 부회장이 강조하고 있는 사회적 책임과도 맥을 같이 한다. 이 부회장은 지난 11월 삼성전자 창립 50주년에서 “우리의 기술로 더욱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만들어 우리 사회와 인류의 미래에 도움이 돼야 한다”면서 “같이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것이야말로 세계 최고를 향한 길”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부회장이 사실상 삼성의 사령탑에 오른 이후 삼성의 변화 움직임은 조금씩 감지됐다. 이로 인해 현재 노조가 설립된 계열사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SDI, 삼성생명, 삼성증권, 에버랜드, 에스원 등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삼성전자 노조가 지난달 16일 공식 출범하기도 했다. 양대 노총 산하 노조가 들어선 것은 처음이다.

이 부회장의 재판 등이 맞물려 12월 초 삼성 정기 임원 인사가 늦어지면서 삼성의 사업 전반의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 ‘글로벌 전략회의’ 연기 가능성도 점쳐졌지만 지난 16일부터 닷새간의 회의 일정이 순조롭게 진행됐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글로벌 경기 부진 등의 여파 등 사업별 위기 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시점에서 글로벌 전략회의마저 연기될 경우 그룹 안팎의 불안감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이 부회장의 조치로도 해석된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2월 경영에 복귀한 뒤 방어적 자세를 취했던 각종 이슈를 정면 돌파해 왔다. 정부 등으로부터 순환출자 해소 압박을 받아왔던 삼성물산 지분 매각에 이어 10년간 갈등을 빚어온 반도체 라인 백혈병 문제에 대한 전향적인 합의는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이 부회장은 현장 경영 행보도 늦추지 않고 있다. 올 초 새해벽두부터 반도체 공장 등 현장 방문에 나선 이 부회장은 중국 반도체 공장, 일본, 인도 등 글로벌 현장을 챙겼다. 한편으론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총리 등과 만나 협력 관계를 이끌어 냈다. 모하메드 빈 자이드 UAE 아부다비 왕세제,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베트남 응우옌 쑤언 푹 총리 등 글로벌 관계 형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재계 안팎에서는 파기환송심 재판부가 이 부회장에게 주문한 ‘총수 선언’과 ‘준법감시시스템 마련’에 주목하고 있다. 이미 변화의 흐름이 지류가 아닌 본류에서 시작되고 있는 만큼 삼성 경영의 방향성과 미래 비전 등을 골자로 한 변혁의 내용이 담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일련의 발표들을 보면 삼성이 빨라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그만큼 이 부회장의 결단도 과감해 지고 있다는 방증으로 볼 수 있다”며 “이번 (파기환송심)재판 과정에서 이 부회장의 위기 극복 경영 능력도 발휘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c07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