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세계 자동차산업, 올해 수익환경 악화에 전망 불투명

공유
0

[글로벌-Biz 24] 세계 자동차산업, 올해 수익환경 악화에 전망 불투명

세계경기와 신차판매 둔화에 미 대선과 환경대응 비용까지 증가

일본 요코하마에서 수출을 기다리고 있는 자동차들. 자료=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본 요코하마에서 수출을 기다리고 있는 자동차들. 자료=로이터
올해 글로벌 자동차산업은 수익환경이 더욱 어려위지면서 불투명성이 짙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세계경제 침체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주요시장의 신차판매 증가도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또한 미국수출도 미국 대선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흔들기가 우려되는 데다 환경대응 비용과 최신기술에 대한 투자부담이 자동차업체들에 압박을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신차시장은 올해에도 지난해를 밑돌 것으로 보인다. 중국기차공업협회의 예측에 따르면 2%가 줄어든 2530만대의 신차가 판매될 것으로 예측했다. 미중 무역분쟁과 경기둔화로 지난해는 약 8% 감소가 예상되고 있는 데다 올해도 경기둔화가 이어지면서 28년만에 전년을 밑돌면서 2018년부터 3연연속 감소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일본 최대 인터넷증권사인 SBI증권의 엔도 코지(遠藤功治) 기업조사부장은 “최악시기를 벗어났다”고 판단했다. 대도시가 교통체증 대책으로 도입하고 있는 자동차번호판 발급제한의 완화에 나선고 있는 것등이 주요요인으로 꼽혔다.

또한 중국정부가 하이브리드차(HV)도 신에너지차(NEV) 정책으로 우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어 HV에 강한 일본기업에게는 순풍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도요타차는 HV시스템의 외판도 진행하고 있어 차량판매 이외의 수입도 기대할 수 있다.

올해 일본시장도 신차출시 다음해의 판매감소와 소비세 증세 등의 영향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부분이다. 도요타의 국내판매도 4%나 줄어 2년 만에 마이너스 판매가 예상된다.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의 신차판매도 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인도시장은 금융기관의 신용경색, 자동차보험의 부담 증가 등을 배경으로 판매침체가 이어지고 있어 전문가들은 올해 5% 감소를 예측하고 있다. 4월부터 신 배기가스 기준(BS6)도 도입돼 기준미달 자동차는 판매할 수 없다. 기준미달 자동차의 재고처분에 따른 수요감소도 있을 수 있다. 6월에는 자동차 구입시의 차량등록료가 올라 수요는 더욱 얼어붙을 우려도 있어 인도가 주력시장인 스즈키에게는 어려운 사업환경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시장은 올해도 높은 수준인 1700만대를 유지하면서 횡보하거나 소폭 감소할 전망이 우세하다. 견조한 경기와 저금리, 소득증가, 가솔린 가격 안정 등으로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신차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어 중고차가 호조를 보이는 점과 지난해에 1700만대 규모가 5년 연속 이어질 점 등을 감안하면 정점을 찍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자동차 종목별로 보면 스포츠유틸리티차(SUV)는 견조한 반면 세단 승용차는 저조한 추세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통인 스바루의 나카무리 도모미(中村知美) 사장도 같은 견해를 나타내고 있으며 강점인 SUV를 중심으로 올해 미국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조개혁 중인 혼다는 올해 개발효율과 부품공유를 높인 신설계 방법을 채용한 첫 세계 전략차를 투입하는 것으로 저수익성이 개선될 지 주목된다.

미일 무역문제가 요주의 사안이다. 추가관세는 피했다고 해도 관세삭감 또는 폐지는 사실상 계속협의 사안이다. 그러나 올해 11월 미국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트럼트 대통령이 관세철폐 교섭에 응할지는 불투명하다. 일본으로부터 미국에의 수출이 많은 도요타 등은 방심할 수 없다.

미중 무역협상에서도 양국이 ‘1단계 합의’에 도달해 미국은 대중 제제 관세의 발동중지와 기적용 관세의 일부 완화, 중국은 미농산물구입 확대 등을 약속했지만 미국이 재차 관세 인상과 추가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유럽은 올해부터 자동차 판매 업체들에게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에 95그램 이하로 낮추도록 결정했다. 기준에 미달하면 95유로의 벌금이 부과되며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V) 등은 생산비용이 높아진다. 비용을 판매가격에 전가하면 판매대수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자동차업체는 대수구성과 벌금이라는 어려운 밸런스 조정에 직면하게 된다.

마쓰다는 일부 차종의 가격인상과 EV투입 등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도카이도쿄(東海東京)조사센터는 환경규제강화로 마쓰다와 스즈키의 올해 실적예상에 각각 100억 엔의 비용증가를 포함하고 있다. 스즈키는 EV와 PHV를 갖지 못하고 도요타는 HV공급이 올 하반기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티그룹증권에서는 올해 실적예상에서 벌금과 유럽에서의 판매대수 감소에 의해 350억 엔 정도의 수익감소를 전망하고 있다.

한편 닛산은 지난해 12월에 신경영체제가 출범해 중기계획을 수정중이다. 그러나 실적회복과 상품전략 등의 책임자였던 세키 준(関潤) 부COO(최고 집행책임자)가 취임 1개월도 채 되지 않아 퇴사해 아직 체제조차 안정되지 않고 있다.

법 정비도 진행되면서 올해는 최신 자율운전차가 달리기 시작할 ‘자율운전 원년’이다. 그러나 자율운전과 전동화에 따른 투자확대기와 주요시장의 판매둔화가 겹치면서 자동차업계는 앞으로 장기간에 걸처 ‘이익침체시대’에 돌입할 것이라는 우울한 예상이 제기되고 있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