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시장 위축에도 서울 재건축재개발 연초부터 '뜨겁다'

공유
1

시장 위축에도 서울 재건축재개발 연초부터 '뜨겁다'

정부 고강도 점검‧물량 감소 여파...입찰무효 파동 겪은 한남3구역 재입찰 준비
입찰사와 갈등 겪은 갈현1구역도 이번주 재입찰, 롯데-GS-현대ENG '3파전'
반포3주구‧신반포15차는 기존 시공사와 결별 재선정 작업..."출혈경쟁 없을 듯"

서울 용산구 한남3 재개발구역 주택가 모습.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용산구 한남3 재개발구역 주택가 모습. 사진=뉴시스
정부의 고강도 규제 영향으로 도시정비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재건축‧재개발사업 시공권을 따내기 위한 건설사들의 수주 열기는 올해도 지속될 전망이다.

정부 규제로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장 수는 줄었지만 일부 정비사업장을 중심으로 시공사 교체 바람이 불고 있고, 지난해 시공사 선정 예정 사업지 상당수가 올해로 시공사 선정 일정이 연기됐기 때문이다.
8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시공사 선정이 중단됐던 ‘강북 매머드급 재개발’ 용산구 한남3구역은 최근 시공사 재입찰 방침을 세우고 시공사 선정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시공사 입찰에서는 현대건설, GS건설, 대림산업이 참여해 3파전 양상으로 경쟁구도가 확정됐지만,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특별점검을 실시해 이들 3개 건설사들의 입찰 제안 내용에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 위반 소지가 있다며 검찰에 수사의뢰하는 등 논란이 빚어지며 재입찰이 결정됐다.

한남3구역 조합 측은 이번 재입찰에서는 수주 과열을 일으킨 요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 혁신설계안은 원천 배제하고, 건설사로부터 원안과 대안설계만을 제안받기로 했다. 정확한 재입찰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서울 한강변의 알짜 재건축 단지로 꼽히는 한남하이츠 재건축사업도 이달 시공사 선정을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해 12월 26일 한남하이츠 재건축조합이 마감한 시공사 입찰에는 현대건설과 GS건설이 참여하며 정면승부를 예고했다.

한남하이츠 재건축사업은 서울 성동구 옥수동 220-1번지 일대 4만 8837㎡에 지하 6층∼지상 20층 아파트 10개동, 790가구와 부대복리시설을 신축하는 프로젝트로 예정 공사비는 3419억 원 규모이다.

지난해 대전지역 최대어인 장대B재개발 시공권을 놓고 경쟁을 펼쳤던 현대건설과 GS건설은 오는 18일 시공사 선정총회에서 또다시 격돌할 전망이다.
서울 은평구 갈현1구역 재개발도 오는 9일 재입찰을 앞두고 있다. 이곳 역시 지난해 시공사 입찰을 진행했지만, 입찰 검토 과정에서 조합이 현대건설의 입찰 자격을 박탈하면서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이후 법원이 현대건설 측이 조합을 상대로 제기한 입찰 무효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기각하며 재입찰 절차를 밟게 됐다.

지난해 11월 조합이 진행한 시공사 현장설명회에는 1차 입찰에 참여했던 롯데건설 외에 GS건설, 현대엔지니어링이 참여했다.

기존 시공사와 결별 후 올해 새로 시공사를 선정하는 사업장도 있다.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조합은 지난해 12월 말 조합원 임시총회를 열고 ‘현대산업개발의 시공사 지위 취소’ 안건을 의결했다.

조합은 지난해 7월 HDC현대산업개발을 수의계약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이후 본계약 과정에서 HDC현대산업개발과 공사비 등 이견 차이로 갈등을 빚었다. 조합은 최근 새로운 시공사를 찾기 위해 건설사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시공사 선정 작업에 고삐를 당기고 있다.

신반포15차 재건축조합도 지난해 12월 임시총회를 열어 기존 시공사인 대우건설과의 계약해지 안건을 가결하고 새로운 시공사를 모집 중이다.

도시정비업계는 올해 건설사들의 정비사업 시공권 경쟁이 지난해와 달리 무리하지 않는 수준에서 벌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가 시공사 선정과정에서 건설사가 조합원에게 금품 제공시 시공권을 박탈하는 내용의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을 개정한 데다 정비사업조합을 대상으로 국토부와 서울시가 합동점검에 나서는 등 칼날을 들이대고 있어서다.

대형건설사 도시정비팀 관계자는 “최근 정비사업 자체가 많이 줄면서 건설사들의 수주 경쟁은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만, 정부가 정비사업 영업에 금품 살포를 막고 규제를 강화하면서 종전 같은 출혈 경쟁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