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E.닥터] 목 아프면 디스크?...후종인대골화증, 아시나요

공유
0

[GE.닥터] 목 아프면 디스크?...후종인대골화증, 아시나요

이창현 서울대병원 교수, 후종인대골화증 원인·치료법 소개

후종인대골화증의 발생 과정. 사진=서울대학교병원이미지 확대보기
후종인대골화증의 발생 과정. 사진=서울대학교병원
아직 '잘 모르는 병' 후종인대골화증. 이름 자체부터 어렵게 느껴지는 이 병은 약물치료나 식이, 운동 등의 치료법도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어 여러 의견이 존재하는 요상한 병입니다. 주로 경추에 나타나기 때문에 목 디스크와 함께 대표적인 경추질환으로 꼽히지만 흔치 않은 질환이기 때문에 발병해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그러나 이를 방치하면 팔다리의 마비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질환에 대해 제대로 알고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창현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를 통해 후종인대골화증의 개념과 원인, 그리고 치료법까지 알아봤습니다.

◆ 후종인대골화증이란?


뼈와 뼈 사이에는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인대가 존재합니다. 목 부위 경추에서도 뼈 사이를 테이프처럼 이어주는 인대가 자리 잡고 있는데요.

후종인대골화증은 경추의 운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종인대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지고 두꺼워져 척수 신경을 압박해 신경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손 저림과 통증, 감각·근력 저하로 시작해 보행과 배뇨·배변 장애가 생기고 심한 경우 사지가 마비됩니다.

발병원인을 살피면, 가족 간 발병률이 일반인보다 높은 것으로 보아 유전적 요소가 작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기계적으로 고개를 많이 숙이는 등 목의 과사용, 혹은 쌀이나 비타민A의 과량 섭취 등이 후종인대골화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도 합니다. 만약 갑상선 항진증과 당뇨병 등의 전신 질환이 있다면 후종인대골화증이 생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후종인대골화증 수술 방법. 사진=서울대학교병원이미지 확대보기
후종인대골화증 수술 방법. 사진=서울대학교병원

◆ 한국인 발생률, 서양인보다 100배 높은 이유...
유전or퇴행성

눈에 띄는 점은 후종인대골화증이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많이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백인의 경우 전체 인구의 0.1~0.2% 정도 발생하지만, 우리나라는 약 5~12%에서 발생하는데요. 한국인이 서양인과 비교해 약 100배가량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고 합니다.
민족적 차이가 분명하기 때문에 후종인대골화증은 유전질환으로 추정됩니다. 그 증거로는 △동아시아인의 높은 발병 빈도 △남자에서 많이 발병 △아버지로부터의 유전(子 유전 확률 약 25%) 등이 있죠.

하지만 후종인대골화증의 원인이 꼭 유전 때문이 아니라 퇴행성 질환(복합질환)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주로 중년 이후 발생(4~50대 이후) △수술 후 후종인대골화증의 증식 중단 등이 이유입니다.

◆ 후종인대골화증의 치료법=수술뿐


그렇다면 치료법은 어떨까요. 안타깝게도 현존하는 후종인대골화증의 치료방법은 수술뿐입니다. 수술 방식은 앞쪽으로 하는 전방 수수과 뒤쪽으로 하는 후방 수술 두 가지가 있는데요. 전방 수술은 골화된 후종인대를 직접 제거하고, 후방 수술은 골화된 후종인대 자체를 제거하지는 않지만 신경이 지나가는 길을 넓히는 방식이죠.

전방 수술은 보통 척수를 심하게 누르거나 몸이 앞으로 굽은 경우에만 시행합니다. 반면, 후방 수술의 경우 수술 후 후종인대골화증이 다시 자랄 수 있습니다. 평균 통계에 의하면 약 10년 정도 관찰했을 때, 60%의 환자에서 수술 이후 후종인대골화증이 계속 자란다고 합니다.

다행히 60%의 환자 중 후종인대골화증 증식으로 인해 추가 수술을 다시 받는 경우는 약 8%에 불과하죠. 이는 후방 수술 이후 후종인대골화증이 좀 더 자랄 수는 있으나 추가 수술이나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후종인대골화증 수술의 60~70% 정도가 후방 수술로 이뤄진다고 합니다.

전방 수술 하는 경우. 사진=서울대학교병원이미지 확대보기
전방 수술 하는 경우. 사진=서울대학교병원

아울러 후종인대골화증를 지각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수술하는 시기를 정하는 것입니다. 굳은 인대가 척수를 누르면 비틀거리거나 휘청거리며 걷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데요. 이렇게 넘어질 것 같은 불안한 증상이 발생할 때,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는 게 이 교수 설명입니다.

이창현 서울대병원 교수는 "환자분들이 병원에 내원해 후종인대골화증 진단을 받은 후,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보고 겁을 내는 경우가 많다"면서도 "후종인대골화증이 발생해도 수술을 통해 제거한다거나 신경 통로를 넓혀 증상을 없앨 수 있으니 무서워하지 말고 의료진과 함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이창현 교수. 사진=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이창현 교수. 사진=서울대학교병원



김태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h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