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공연리뷰] 송윤주 안무의 'Finale'…어느 죽음에 관한 명상

공유
1

[공연리뷰] 송윤주 안무의 'Finale'…어느 죽음에 관한 명상

송윤주 안무의 'Finale'이미지 확대보기
송윤주 안무의 'Finale'
임인년 10월 3일(월), 4일(화), 5일(수) 사흘간 저녁 7시 30분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임학선댄스위(예술감독 임학선,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명예교수) 주최·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중장기창작지원사업·성균관대학교 유가예술문화콘텐츠연구소 후원으로 수수지례(授受之禮)의 핵심인 임학선댄스위 한국춤세계화 프로젝트 ‘WE, UNIVERSE-우리의 꿈’이 공연되었다. 이번 공연은 방배동 두리춤터에서 춤 공간을 이동, 확장하여 ‘위’(爲)의 춤철학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근본적인 가치와 방향성을 ‘예술’로 이야기한다.

공연은 자연(이혜준·김현우), 인간(선은지·양한비), 예술(박혜리·송윤주)로 영역이 나누어져 창작되었다. 차별화된 춤 언어로 자신들의 역량을 보여 준 공연에서 자연 부문은 10월 3일(월) 이혜준 안무의 <수로>·김현우 안무의 <포터>, 인간 부문은 10월 4일(화) 선은지 안무의 <엄마를 위한 망고 댄스>·양한비 안무의 <Gone, 代>, 예술 부문은 10월 5일(수)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송윤주 안무의 <Finale>가 공연되었다. ‘동정과 공감’·‘성찰’·‘연대’의 능력을 보여준 공연은 ‘임학선댄스위’의 주창(主唱)의 실천이었다.
송윤주 안무의 'Finale'이미지 확대보기
송윤주 안무의 'Finale'
송윤주 안무의 'Finale'이미지 확대보기
송윤주 안무의 'Finale'


이 가운데 송윤주 안무의 <Finale>를 평론의 대상으로 삼는다. 휘날레(Finale)는 마지막을 장식할 때 쓰는 말이다. 안무가 송윤주는 외할머니의 죽음을 삶의 마지막으로 보고 작품을 구상한다. 송윤주 안무의 <Finale>는 1. 마지막 문턱앞에서 2. 마지막에 들어 서보니 3. 보내야 하는 것들 4. 안녕과 안녕!에 이르는 네 개의 장(場)으로 구성된다. 역할이 다른 무용수가 등장한다. 송윤주 무용수는 지금 막 죽음을 맞이한 영혼이고, 권미정, 한지원 무용수는 이전에 죽음을 맞이했고 죽음이라는 놀이동산에 놀고 있던 아이들이다.

올해 1월 1일 안무가의 외할머니가 갑자기 돌아가셨다. 죽음은 그녀에게 너무 갑자기 찾아왔고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한 해를 시작하는 첫날에 그녀의 가족은 끝이라는 막막한 단어를 마주해야만 했다. 장례미사가 진행되었고, 오열하는 가족에게 장례 집전 신부는 “ 죽음은 끝이 아닙니다. 우리가 끝이라고 생각할 때 최문경 모니카는 시작을 했습니다. 1월 1일의 이별은 새로운 여행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송윤주는 찬찬히 외할머니의 죽음을 기억해내고, 슬픔이 사라지기 전에 작품화하는 효성을 보인다.
송윤주 안무의 'Finale'이미지 확대보기
송윤주 안무의 'Finale'

송윤주 안무의 'Finale'이미지 확대보기
송윤주 안무의 'Finale'


운명이 그러하면 도리가 없다. 천주교도들에게 순종은 기본적인 미덕이다. 함께한 날들을 기억하며 남은 자들의 눈물샘이 터지면 막을 수 없다. “할머니의 관이 활활 타오르고 있을 때 이모들은 우리 엄마 뜨거워서 어쩌냐”고 했지만, 안무가에게 할머니의 지난 모든 일들이 해소되어서 훨훨 날아가는 모습으로 보였다. 안무가는 극기의 자세를 보인다. 「죽음은 결코 끝이 아니다. 두려운 것이 아니고, 우리가 어쩌면 행복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이다. 나는 용기 있게 기꺼이 다음 세계의 시작을 위해 죽음을 받아들이고자 한다.」

<Finale>는 원래 팔로우 조명으로만 무대를 진행하며 블랙코미디의 형식을 의도했었다. 움직임은 대부분 출연자의 추억에서 추출한 것이고, 그들의 개성대로 춤췄다. 강한 개성은 자연스럽게 조화를 불러왔다. 안무자는 굳이 역할이 맞춰진 군무를 넣지 않았다. 듀엣으로 이루어지거나 셋이서 각자의 이야기를 펼치는 데 주력하고 있었다. 안무자는 색 조명 사용을 우회하고 심플한 조명을 선호했다. 놀이터에서 신나게 노는 하루를 표현하기 위해, 새벽녘의 느낌에서 출발하여 노을, 밤, 다시 아침으로 이어지며 조명은 변해갔다.
송윤주 안무의 'Finale'이미지 확대보기
송윤주 안무의 'Finale'
송윤주 안무의 'Finale'이미지 확대보기
송윤주 안무의 'Finale'


누군가 와서 계속 국화꽃을 부었다. 국화는 놀이터의 모래 대신 깔리는 푹신한 구름이며, 천국의 꽃동산 이미지였다. 죽음을 인정하지 못해 쌓이는 감정이기도 했다. 가끔 등장하는 양한비는 죽음이라는 환경을 계속 인지시켜주는 저승사자의 역할이었다. 전날 양한비 무용수가 안무자로서 공연을 했고, 그때 쓰고 나온 대감 모자가 너무나도 강렬했고, 이를 쓰게 해서 어제 공연도 본 관객만이 알 수 있는 스키마 효과를 노리는 요소였다. 어제 공연한 대감의 영혼이 무대가 너무 좋아서 다음날까지 떠나지 못했다는 컨셉이었다.

죽음과 인생은 인간의 공동 관심사이다. <Finale>의 음악과 사운드는 인생에서 숱하게 듣고 겪은 소리로 만들어졌다. ‘어릿광대를 보내주오.’ ‘찰리 채플린의 Closing Title’, 샹송 ‘Je sais’, 심장박동 소리, 장례식장의 소리 등이 사용되었고, 장(場)마다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담은 노래였다. 의상은 사자(死者) 컨셉으로 검정 의상이 되었고, 현대판 저승사자의 느낌으로 거꾸로 입은 셔츠에 바지를 입었다. 파여진 등에 깃털을 붙여 하늘에서 놀고 있는 천사의 영혼과 같은 컨셉의 의상이 탄생했다.
송윤주 안무의 'Finale'이미지 확대보기
송윤주 안무의 'Finale'

송윤주 안무의 'Finale'이미지 확대보기
송윤주 안무의 'Finale'


송윤주는 <Finale>를 만들면서 마지막이라는 단어를 즐겁게 받아들였다. ‘유종의 미’에 대한 아름다운 설명이다. 과거를 회상하면서 마지막을 장식하는 작품이기도 하지만 그 과거를 국화꽃 구름에 내려놓고 다른 세계로 출발하고자 하는 안무가의 마음이 담긴 작품이었다. 안무가 송윤주는 자신의 작품으로 죽음을 당당하게 이야기하면서 앞으로 더 많은 일을 진행함에 있어 머뭇거리지 않고 전진하는 자신의 모습을 응원한다. 송윤주는 <Finale>를 통해 느긋한 듯하면서도 자신을 차곡차곡 채워가는 알곡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출연 송윤주 권미정 한지원 양한비)


장석용 문화전문위원(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