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공업 6.4%, 소매매출 8.5% 증가에 그쳐
수출감소와 함께 경기확대 기세 약화 반영
수출감소와 함께 경기확대 기세 약화 반영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국가통계국이 이날 이같은 내용의 7월 광공업생산과 소매매출액 통계를 발표했다. 이는 수출감소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국내 확산과 홍수로 경기하락 압력이 강해진 징후를 보여준다.
광공업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 증가했으나 지난 6월 8.3% 증가와 비교하면 둔화된 수치다.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애널리스트 예상치(7.8% 증가)보다 훨씬 낮았다.
7월의 소매매출액은 지난해와 비교해 8.5% 증가로 집계됐다. 시장예상치인 11.5%를 밑돌았다. 지난 6월(12.1%)보다 큰 폭으로 둔화됐다.
또한 지난 7월의 중국내 코로나19 확산으로 많은 지방정부가 봉쇄조치를 실시해 기업활동도 일시적으로 제한됐다. 일련의 규제조치는 여행과 접객업 등 서비스부문에 타격을 주고 있다.
이달 중순에 발표된 무역통계에서도 지금까지 경기회복을 지탱해왔던 수출 증가율이 지난 7월에 예상이상으로 둔화된 점이 부각됐다.
푸링후이(付凌晖)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의 산발적인 발생과 자연재해로 경기회복은 여전히 덜쭉날쭉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서 ”중국 국내경제의 회복은 여전히 많은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생산에 대한 제약이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일부 지역은 격심한 기후변화에 휩쓸렸으며 7월에는 허난(河南)성에서 기록적인 호우로 발생한 홍수로 300명이상이 사망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올해 3분기 중국 국내총생산(GDP) 예상을 하향수정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2분기 GDP는 지난해보다 7.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대 최대 성장률을 기록한 1분기 18.3% 증가에서 크게 후퇴했다.
중국인민은행은 지난 7월 은행의 예금준비율을 인하했다. 경기 하방압력이 높아지는 가운데 많은 애널리스트들은 경기지원을 위해 연내에 재인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1~7월 고정자산투자는 지난해보다 10.3% 증가했다. 이는 시장예상치 11.3% 증가였으며 1~6월은 12.6% 증가였다.
전체의 60%를 차지하는 민간부문의 고정자산투자는 1~7월에 13.4% 늘어났으며 1~6월의 15.4%보다 증가율이 둔화됐다.
1~7월의 부동산투자는 지난해보다 12.7% 증가했다. 이같은 증가율도 1~6월의 15% 증가와 비교해서는 낮아진 수치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