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파월 의장 이번주 美의회 연속 출석...'매파' 발언 예상 이유는

공유
2

[초점] 파월 의장 이번주 美의회 연속 출석...'매파' 발언 예상 이유는

긴축 통화 정책 강화 예고하면 3월에 0.5%P 금리 인상 가능성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 사진=로이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의 입에 다시 글로벌 경제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파월 의장은 7일(현지시간)과 8일 오전 10시에 각각 상원 은행위와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해 연준의 통화 정책을 설명하고, 의원들의 질의에 답한다. 그는 연준이 지난달 1일 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한 이후 세 번째로 공개 발언을 한다. 그가 향후 통화 정책 기조에 대해 ‘매파’ 또는 ‘비둘기파’ 발언을 할지 주목된다. 그가 긴축 통화 정책을 지속해서 견지하겠다는 기본 태도를 고수하면서 긴축의 수위를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따라 미국과 글로벌 증시가 춤을 출 것으로 보인다.

5일(현지시간) 미 경제 전문지 마켓워치는 “파월 의장이 이번 의회 청문회에서 애초 예상보다 높은 금리 인상 필요성을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파월 의장이 향후 금리 인상 추이에 대해 단정적인 태도를 보이지는 않을 것이나 비둘기파 보다는 매파 기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마켓워치는 “파월 의장이 시장에 보낼 메시지가 매우 간결할 것이고, 한마디로 너무 적게 일을 하는 데 따른 위험이 너무 많게 일을 하는 데 따른 위험보다 크다고 할 것”이라고 전했다. 마이클 그레고리 BMO 캐피털 마켓의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이 매체에 “연준이 지난해 말에 비해 점점 매파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발표된 주요 경제 지표로 인해 연준이 매파 기조로 기울고 있다는 게 경제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국의 노동 시장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미 노동부는 2월 19∼25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전주보다 2000 건 감소한 19만 건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이는 7주 연속 20만 건 미만 청구 기록이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5000 건 감소한 166만 건으로 집계됐다. 노동부가 이날 별도로 발표한 지난해 4분기 단위노동비용 상승률은 종전 추정치 1.1%의 3배에 가까운 3.2%로 상향 조정됐다.

미국에서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물가 지표의 상승 폭이 다시 확대됐다. 미 상무부는 1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가 5.4% 올라 전년 동월 5.3%에서 0.1%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PCE 가격 지수 상승 폭이 전년 동월에 비해 커진 것은 7개월 만에 처음이다.

연준이 3월 회의에서 금리 인상 폭을 결정하는데 오는 3월 14일 나오는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의 통화 정책 결정 기구인 FOMC 회의는 3월에 열리고, 4월을 건너뛴 뒤 5월, 6월, 7월에 연속으로 열린다.

연준이 지난해 12월에 올해 금리 예상치 중간값을 5.1%로 제시했으나 3월 회의에서 이보다 더 올릴 것으로 월가가 예상한다. 연준은 2월 1일에 끝난 FOMC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0.25% 포인트 올렸고, 그 당시에는 위원들의 금리 예상치인 점도표를 제시하지 않았다. 연준은 오는 3월 FOMC 회의에서 다시 점도표를 공개한다.
연준의 매파 기조 강화 전망으로 인해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도 지난주 심리적 저항선인 4%를 한때 돌파했다가 다시 그 밑으로 살짝 내려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2월 비농업 고용이 22만 5000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업률은 전달과 같은 54년 만에 최저 수준인 3.4%를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파월 의장이 이번 의회 증언에서 매파 기조에 방점을 찍으면 3월에 열리는 FOMC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0.5% 포인트 올릴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현재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3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을 70% 수준으로, 0.50%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 30% 수준으로 보고 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