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제유가 돌연 급락 이란 핵합의 덜컹 … 뉴욕증시 비트코인 무슨 일?

공유
0

국제유가 돌연 급락 이란 핵합의 덜컹 … 뉴욕증시 비트코인 무슨 일?

이란 원유 100만 배럴 수출

국제유가를 좌우하는 사우디 유전 이미지 확대보기
국제유가를 좌우하는 사우디 유전
국제유가가 돌연 급등세로 돌아섰다 이란 핵 협상 타결 소식이 유가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 국제유가 하락은 뉴욕증시 비트코인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9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국제 유가는 미국이 이란과의 핵 합의에 임박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7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24달러(1.71%) 하락한 배럴당 71.2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 유가는 미국과 이란의 핵 합의가 임박했다는 보도에 하락 압력을 받았다. 그러나 미국 당국이 해당 소식을 부인하면서 낙폭은 제한됐다.

영국의 중동 전문 매체인 '미들 이스트 아이'는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란과 미국이 임시 핵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이란이 우라늄 농축 활동을 축소하는 대가로 미국이 일부 제재를 완화해주는 방안을 양측이 합의에 근접했다는 것이다. 제재 완화안에는 최대 하루 100만배럴의 원유 수출이 포함됐다. 로이터 통신은 그러나 해당 보도와 관련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이 "잘못된 보도"라고 부인했다고 전했다.

이란에서 농도 83.7% 우라늄 입자가 발견된 것과 관련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조사가 종결되면서 이란과 서방의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기대가 커진 바 있다. 이란의 고농도 우라늄 입자 발견 소식은 그동안 양측 협상의 최대 걸림돌로 꼽혀왔기 때문이다.
이란 핵 합의는 미국과 프랑스, 영국, 러시아, 중국, 독일 등 6개국이 2015년 이란과 체결한 합의다. 이란이 핵무기 개발 노력을 중단하는 대가로 대이란 경제제재를 해제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미국은 2018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당시 핵 합의를 일방적으로 폐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보복 조치로 이란은 그다음 해부터 우라늄 농축 농도를 높여왔다. 2021년부터 시작한 핵 합의 복원 회담은 1년 넘게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이다.

뉴욕증시는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뉴욕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긴장하고 있다. 캐나다 중앙은행의 깜짝 금리 인상으로 연방준비제도(연준·Fed)도 예상과 달리 깜짝 행보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호주중앙은행도 시장의 예상과 달리 0.25%포인트 금리 인상에 나섰다. 미국 금리선물시장에서 연준이 6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72.5%,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27.5%이다.

게임스톱의 주가는 최고경영자(CEO) 매튜 펄롱이 해고되고 라이언 코헨 이사회 의장이 회장으로 선임됐다는 소식에 19% 이상 하락했다. 루시드의 주가는 회사가 중국에서 차량을 판매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1% 가량 올랐다. 중고차 판매업체 카바나의 주가는 올해 2분기 단위당 총이익이 6천달러를 웃돌아 지닌해 같은 기간보다 6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면서 28%가량 올랐다. 이전 전망치는 5천달러 이상이었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SEC는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와 그 창업자 자오창펑 최고경영자(CEO), 미국의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를 제소했다. 바이낸스는 거래 규모를 부풀리기 위해 고객 자산을 유용했다는 혐의 등을, 코인베이스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공개 의무를 회피했다는 혐의 등을 받고 있다. SEC는 코인베이스를 제소하면서 최소 13개 가상자산이 규제당국이 규정하는 '가상자산 증권'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코인베이스는 연방 증권법의 적용 대상이지만, 회사 측은 이 사실을 알면서도 규정을 무시했다는 것이다. 갠슬러 위원장은 비트코인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지만, 가상화폐 시장에 대해선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론을 고수했다고 전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이 SEC의 거래소 제소를 지지했다. 그는 CNBC 인터뷰에서 "SEC와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등 규제 당국은 소비자와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투자자 보호를 위한 이들의 움직임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어 "가상자산 기업에 대한 추가적인 규제 강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의회와 협력해 더 많은 법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