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는 22일(현지시간) 디젤 수출에 대한 임시 제한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즉시 발효되며, 구소련 4개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적용된다. 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디젤 공급국 중 하나로, 하루 약 100만 배럴의 디젤을 수출하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이번 조치가 국내 시장의 연료 가격 안정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루블화 가치 하락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국내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우려된다. 세계 최대 디젤 공급국 중 하나인 러시아의 수출 금지는 디젤 가격 상승과 공급 차질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 등 러시아 디젤의 주요 수요처에 타격이 예상된다.
러시아의 이번 조치는 에너지를 무기로 활용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러시아는 지난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에 대한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하는 등 에너지를 정치적 도구로 활용해왔다. 러시아의 이번 조치는 유럽과 미국 등 서방의 대러 제재에 대한 보복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디젤 공급국이자 원유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다. 시장 참가자들은 특히 전 세계 디젤 재고가 이미 낮은 수준에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의 금지 조치가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국제유가는 러시아의 수출 금지 발표 직후 배럴당 1달러 이상 급등했다. 국제 벤치마크 브렌트유 선물은 런던에서 0.9% 상승한 배럴당 94.13달러에 거래되었으며, 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은 1.1% 상승한 90.62달러로 치솟았다.
에너지 분석가들은 러시아의 발표에 사용된 모호한 표현으로 인해 금지령이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될지 정확히 평가하기가 어려우며 모스크바가 또 다른 겨울 난방 시즌을 앞두고 연료 공급 을 다시 한 번 무기화하려고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빅토르 카토나(Viktor Katona) 케이플러(Kpler) 수석 분석가는 “규제가 발효되기 전에 합의된 모든 거래는 여전히 유효하다”며 “즉각적으로 디젤과 휘발유 수출이 중단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카토나 분석가는 “러시아 정부는 국내 시장의 연료 가격 안정을 위해 수출을 제한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미 계약을 체결한 물량을 배송하지 않을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정부가 언제든지 수출 금지 조치를 철회할 수 있다”며 “이 경우 즉각적인 수출 재개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