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T, AI CIC장 선임…AI 사업 가속화 시동

글로벌이코노믹

SKT, AI CIC장 선임…AI 사업 가속화 시동

투톱 체제로 AI 서비스·기술이 선순환하는 시너지 극대화 기대
왼쪽부터 유경상 AI CIC장과 정석근 AI CIC장. 사진=SKT이미지 확대보기
왼쪽부터 유경상 AI CIC장과 정석근 AI CIC장. 사진=SKT
SK텔레콤(이하 SKT)은 지난 9월 출범한 AI CIC장에 유경상 현 SK그룹 전략센터장과 정석근 현 GPAA사업부장을 공동 선임했다고 31일 발표했다.

SKT는 지난 9월말 인공지능(AI) 역량을 결집해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AI CIC를 출범한 바 있다. AI CIC는 급변하는 글로벌 AI산업 환경에서 'AI 서비스'와 'AI 기반 기술'이 선순환하는 구조를 확립해야 사업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결정이다. 유 신임 AI CIC장은 구글 본사 출신으로 SK 그룹의 AI 전략과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을 담당하며 SKT의 전략과 신사업 발굴도 담당해 왔다. 정 CIC장은 네이버 클로바 CIC 대표 출신으로 SKT 합류 후 AI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투자는 물론 플랫폼 등 핵심 인프라 구축을 이끌었다.

AI CIC장을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지닌 두 사람으로 공동 선임해 '투톱 체제'를 구축해 AI 전략과 사업 부문에서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SKT는 AI CIC장 선임에 따라 AI 사업 추진에 있어 '속도'를 최우선 가치로 두고 구체적인 CIC 조직 개편을 조만간 확정할 예정이다. 보고 및 결재 라인을 합리화·최소화하고 실무 조직 중심으로 움직이는 민첩한 실행 구조를 갖춰 AI 골든타임에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방침이다.

정 CIC장은 "AI CIC출범은 단순히 조직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SKT가 잘 할 수 있는 AI 사업에 집중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라며 "급변하는 글로벌 AI 산업 환경에서 SKT만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유 CIC장은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AI 정예 조직'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시장의 변화에 보다 발빠르게 움직임으로서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AI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증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