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재용의 시간] 위기 극복 첫 걸음…삼성 '근원 경쟁력' 강화 나서나

글로벌이코노믹

[이재용의 시간] 위기 극복 첫 걸음…삼성 '근원 경쟁력' 강화 나서나

지난해 한달당긴 사장단인사…올해 더욱 당길 가능성↑
이재용, 사업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조직 재건 나설수도
재계·준감위 등 등기이사 복귀 촉구…상법개정안 변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달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기업인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달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기업인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뉴삼성 구축을 위해 가장 먼저 근원경쟁력 강화 카드를 꺼내들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이 위기에 빠진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 전체사업을 지휘할 조직이 부재한 상태에서 이 회장마저 사법리스크에 휘말리면서 적절한 투자와 판단을 내릴 지휘부가 없었던 점이 지목되기 때문이다. 인적쇄신과 조직개편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이 인적쇄신을 위해 기존 관례를 깨고 예상보다 빨리 인사혁신에 나설 것이라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통상 12월에 진행했던 사장단인사를 지난해에는 11월에 단행했다”면서 “인적쇄신에 나설 경우 올해 인사는 지난해보다 더욱 당겨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위기론이 힘을 얻으면서 파격적인 수준의 인사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업계의 예상을 깨고 보수적인 사장단 인사를 행하는 수준에 그쳤다. 논란의 중심이었던 정현호 사업지원TF장(부회장)이 연임된데 이어 박학규 사장이 사업지원TF 담당으로 합류하면서 한팀을 꾸렸다. 한진만 사장을 파운드리 사업부장으로 보임하는 정도의 인사에 그치면서 ‘땜질식 처방’이라는 평가가 이어졌다.

당시 사법리스크에 연루되어 있던 이회장이 파격적인 수준의 인사 혁신을 진행하기에는 다소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사법리스크에서 벗어난 만큼 올해는 기존보다 과감한 인사나 인사시기가 당겨질 가능성이 유력하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관련 일지. 이미지=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관련 일지. 이미지=연합뉴스


이 회장이 사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와 같은 조직재건에 나설 가능성도 다분하다. 삼성은 2017년 사업의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을 창사이래 58년만에 공식 해체했다. 이후 사업지원TF와 경영진단실 등을 통해 사업을 총괄하고 있지만 파급력이나 역할은 미래전략실만 못하다는 평가다. 이 회장도 이 시기에 사법리스크에 연루된 만큼 삼성은 리더나 조직없이 근 10년을 지내온 셈이다.

이 회장의 등기이사복귀는 뉴삼성 구축을 위한 본격 경영 행보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 재계를 비롯해 삼성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등은 지속적으로 이 회장의 등기이사복귀를 요구해왔다. 이찬희 준감위원장은 "내부에서 이 회장이 전면에 나서주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많다"고 밝히기도 했다. 준감위는 23일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를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최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기업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는 내용 등을 담은 상법 개정안은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상법 개정으로 이사진이나 경영진에 대한 주주의 고소·고발이 쉬워지면서 사법 리스크에 또다시 연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이 회장이 사법리스크에서 벗어난 만큼 다음 행보에 기대감이 높다”고 전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