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건설사 컨소시엄 전략, 득인가 실인가

공유
0

건설사 컨소시엄 전략, 득인가 실인가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김병화기자] 부동산 시장이 꽁꽁 얼어붙어 좀처럼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다수의 건설사들이 ‘컨소시엄’ 전략으로 돌파구를 찾으려 애를 쓰고 있다. 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수요자들의 반응은 ‘글쎄올시다’이다.

최근 GS건설‧SK건설‧현대산업개발이 컨소시엄으로 공급하는 ‘DMC가재울4구역’이 분양에 나섰지만 결과는 처참했다. 지난 3일부터 이틀간 진행한 1~3순위 청약접수 결과, 특별공급을 제외한 전체 1,547가구 모집에 불과 537명만 접수하며 평균 경쟁률 0.35대 1을 기록한 것. 전문가들은 실패요인 중 하나로 컨소시엄을 꼽았다.
컨소시엄은 과다한 수주전으로 지출되는 홍보비를 아끼고, 미분양 등의 리스크를 줄여 위기를 극복하려는 건설사들의 자구책이다.

수요자들에게도 여러 건설사가 참여함으로써 사업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고, 업체들마다 부족한 기술을 보완함으로서 더 좋은 아파트를 건설할 수 있어 ‘득’이 된다는 것이 건설사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정작 수요자들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문제삼으며, 컨소시엄에 대한 거부반응을 보이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양날의 칼’ 컨소시엄, 득보다 실이 많을 수도…


수요자들의 가장 큰 걱정은 브랜드 가치하락이다. 컨소시엄의 경우 공동 브랜드를 사용하는데 이는 단일 브랜드에 비해 프리미엄이 떨어진다는 것.

실제로 조합원들이 직접 시공사를 선정하는 재개발‧재건축 현장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다수의 조합원들이 컨소시엄을 반대해 곤혹을 치루는 모습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경기도 안양시 A재개발사업장의 한 조합원은 “브랜드마다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공동 브랜드보다 단일 브랜드의 지가상승폭이 높은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며 “같거나 혹은 더 많은 공사비를 지급하고도 프리미엄을 누릴 수 없으니 반대하는 것”이라고 불만을 표했다.

컨소시엄이 순수한 단합을 넘어서 ‘담합(談合)’으로 변질됐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변선보 주거환경연합 정책실장은 “사업성이 뛰어난 현장에서 치열하게 수주전을 펼치던 건설사들이 승리에 대한 확신이 없을 경우 컨소시엄으로 타협점을 찾기도 하는데, 이는 담합에 가깝다”면서 “실질적인 경쟁이 이뤄지지 않게 됨에 따라 조합원들은 좋지 못한 조건이라도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시공권을 넘겨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B정비업체 대표도 “수주전시 발생하는 홍보비용과 입찰보증금 등 건설사들의 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공사비를 낮출 수 있는 여건인데 임에도 불구하고, 단독으로 참여할 때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은 것은 사실 문제가 있다”며 “지금의 컨소시엄은 건설사들만을 위한 안전장치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공사 진행과정에서도 컨소시엄의 경우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소시엄은 대부분 공구를 나눠 공사를 진행하는데, 건설사 간에 의견조율이 쉽지 않고 각각 고유의 특화전략이 있기 때문에 자칫 중구난방식 저품질 단지가 될 수 있다는 것. 특히 공원·녹지 등 공공부지에 대해서는 서로 ‘나몰라’라 하는 경우가 많다고 업계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더불어 완공 후 보수 등에 대한 책임도 서로 미루기에 급급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김진수 건국대학교 도시및지역계획학과 교수는 “컨소시엄은 양날의 칼이라고 볼 수 있다”며 “올바른 목적으로 맺어진 컨소시엄은 모두에게 ‘득’이 되겠지만, 담합의 수단 등으로 변질된 컨소시엄은 수요자들에게 ‘실’이 될 수밖에 없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