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고려대 이철의 교수연구팀 '풀러린 자석' 입증 성공

공유
0

고려대 이철의 교수연구팀 '풀러린 자석' 입증 성공

"금속자석 대신 조영제·탄소 자기기록매체 등 활용 기대"

▲이철의고려대교수
▲이철의고려대교수
[글로벌이코노믹=노정용기자] 국내 연구진이 다이아몬드나 숯처럼 탄소만으로 이루어진 풀러린(fullerene) 자석의 존재를 실험적으로 입증하는 데 성공, 현재 MRI조영제로 사용되는 중금속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게 됐다.

고려대 물리학과 이철의 교수연구팀은 19일 풀러린 자석의 존재를 실험적으로 입증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기존 금속자석 대신 조영제 또는 탄소 자기기록매체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풀러린 자석 개발연구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논문 'Field-Induced Transition from Room-Temperature Ferromagnetism to Diamagnetism in Proton-Irradiated Fullerene'은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지 10월 18일자에 게재되었다.

풀러린은 탄소 60개가 모여지름 10억분의 1m인 축구공 모양을 이룬 구조로, 강한 항산화 반응을 보여 인체에 유독한 활성산소의 제거 등에 응용할 수 있다.

금속자석은 자성이 강하고 고온에서 안정적인 반면 유연성이 낮고 무겁다는 단점이 있고, 유연한 고무자석은 열에 약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유기물 자석을 찾으려는 시도가 계속돼 왔다. 특히 금속처럼 단단하면서도 더 가볍고 친환경적인 탄소자석이 주목받고 있는데 그 가운데 항산화 활성을 갖는데다 소형화에 유리한 풀러린 자석이 가능한지에 대한 오랜 논쟁이 있었다.

이철의 교수 연구팀은 상온에서 수소이온 다발인 양성자빔을 쬔 풀러린이 스핀 1인 자석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풀러린 자석의 고유한 특성인 스핀 값을 실험적으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성을 띠는 풀러린은 기존 금속자석처럼 조영제나 자기기록매체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풀러린이 자성을 띠는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양성자빔을 쬐면 풀러린에 수소가 달라붙거나 탄소 하나가 떨어져 나가는 것이 이론적으로 예측된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이철의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많은 과학자의 검증을 겪어야 하고 풀러린 자석에 대한 새로운 논쟁의 시작이 될 수도 있음에도 기존논쟁을 일부분 마무리 하면서 풀러린 자석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