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항공산업 미래 먹거리 MRO ②] 아·태 지역 선도하는 싱가포르와 중국

공유
9

[항공산업 미래 먹거리 MRO ②] 아·태 지역 선도하는 싱가포르와 중국

SIA 엔지니어링 컴퍼니(사진/SIA 홈페이지)이미지 확대보기
SIA 엔지니어링 컴퍼니(사진/SIA 홈페이지)
항공산업 미래 먹거리 국내 MRO(정비·수리·개량개조) 산업<2>


[글로벌이코노믹 박관훈 기자] 현재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MRO산업은 싱가포르와 중국이 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싱가포르가 보유한 항공기는 아시아 전체의 3.7%에 불과하지만 MRO시장 점유율은 25%에 달한다. 싱가포르를 MRO산업의 아시아 ‘허브’로 일컫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중국은 향후 아시아를 넘어 세계 MRO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항공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의 MRO 시장 규모를 2013년 36억달러에서 2023년 78억달러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업계 전문가들은 국내 MRO 산업의 육성을 위해 아시아의 강자로 부상한 싱가포르와 중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싱가포르, 1990년부터 정부 주도로 육성… 아시아 ‘MRO 허브’로 성장


싱가포르 정부는 1990년대부터 20년간 MRO 산업을 적극 육성했다. 창이국제공항을 아시아·태평양 내 MRO 중심으로 육성하겠다는 정책적 판단과 공격적인 정부투자가 바탕이 됐다.

싱가포르는 국영투자회사인 테마섹(TEMASEK)을 통해 항공기 정비업체를 집중 지원했다. 또한 롤스로이스, 굿리치 등 해외 항공기 부품 전문기업도 적극 유치했다. MRO 전문단지에는 싱가포르의 대표적인 항공기 정비업체인 SIA 엔지니어링 컴퍼니와 ST 에어로스페이스를 비롯해 120여 개의 업체가 입주해 있다.

STA는 1975년 군수사업을 기반으로 시작했지만 현재 군용기와 민항기 매출 비율은 2대8 수준으로 민항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사진/STA 홈페이지)이미지 확대보기
STA는 1975년 군수사업을 기반으로 시작했지만 현재 군용기와 민항기 매출 비율은 2대8 수준으로 민항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사진/STA 홈페이지)
2007년부터는 창이공항 및 주변 MRO 전문단지의 포화 상태를 고려해 북동부 셀레타 공항을 활용해 추가로 항공산업단지(Seletar Aerospace Park)를 조성했다. 이곳에 공항, 항공기 정비단지, 부품제조단지, 연구교육단지, 주거상업지역 등을 한 데 모아 착륙한 항공기가 공항 안에서 부품을 조달받고 정비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싱가포르는 초기 산업 육성을 위해 자국 군수 물량을 민간에 위탁하는 아웃소싱 전략을 펼쳤다. 군수물량을 민간 기업에 위탁해 정비 경험을 쌓도록 한 것이다. STA(Singapore Technologies Aerospace)가 대표적이다. STA는 테마섹(50.6%)과 정부(49.4%)의 합작으로 이루어진 ST 엔지니어링 그룹의 항공(Aerospace)부문이다. 1975년 군수사업을 기반으로 시작해 민항기 정비로 성장했다. 현재 군용기와 민항기 매출 비율은 2대8 수준으로 민항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싱가포르 정부가 MRO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한 끝에 현재 싱가포르의 항공산업 구조는 MRO 분야 90%, 제조 분야 10%로 구성돼 있다. 싱가포르 항공산업은 1990년 이후 매년 10%대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SIA 엔지니어링 컴퍼니(사진/SIA 홈페이지)이미지 확대보기
SIA 엔지니어링 컴퍼니(사진/SIA 홈페이지)
싱가포르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전체 항공기 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7% 정도에 불과하다. 하지만 아태 지역 내 MRO 점유율은 25%, 세계 시장 점유율은 6%에 이른다. 싱가포르 MRO산업은 연간 3조4000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조하고 3만6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업계 관계자는 “항공기 보유 대수 등 불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게 된 싱가포르를 배울 필요가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와 같은 MRO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해외 부품 전문기업도 적극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이어 두 번째 시장…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뻗어가는 중국 MRO 산업


중국은 미국에 이어 가장 많은 조인트 벤쳐, 부품 공급업체와 투자사들이 위치 한 MRO 산업단지 지역이다. 중국은 2010년 9.8%와 2011년 1분기 9.7% GNP 증가 등의 경제성장과 1800여대에 가까운 자국내 항공기들의 항공정비 수요를 기반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MRO 시장으로 성장했다.

중국은 향후 세계 MRO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중국의 MRO 시장 규모가 2013년 36억달러에서 2023년 78억달러로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MRO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8.1%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평균 성장률 4.3%의 2배에 가깝다. 중국은 전 세계 MRO 시장의 5%와 아시아 태평양 MRO 시장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9년 중국민항과 루프트한자사가 6대4의 비율로 8800만 달러의 자본을 공동 출자하여 설립한 ‘Ameco 베이징’은 항공기 기체, 엔진, 부품 등의 유지보수정비를 담당한다.(사진/Ameco 베이징 홈페이지)이미지 확대보기
1989년 중국민항과 루프트한자사가 6대4의 비율로 8800만 달러의 자본을 공동 출자하여 설립한 ‘Ameco 베이징’은 항공기 기체, 엔진, 부품 등의 유지보수정비를 담당한다.(사진/Ameco 베이징 홈페이지)
세계적인 MRO 전문 업체들은 합작투자 형태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대표적인 항공기 정비업체인 STA는 광둥공항관리유한공사와 합작 투자사를 설립해 중국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에서 MRO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989년 중국민항과 루프트한자사가 6대4의 비율로 8800만 달러의 자본을 공동 출자하여 설립한 ‘Ameco 베이징’은 항공기 기체, 엔진, 부품 등의 유지보수정비를 담당한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도 MRO 기반 없이 항공산업의 경쟁력을 구축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MRO 키우기에 나섰다”며 “우리도 국내 항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MRO산업 육성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관훈 기자 o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