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그것이 알고싶다' 세월호와 205호 그리고 비밀문서 퍼즐 맞추기…세타(Θ)의 경고는 과연 무엇인가?

공유
12

'그것이 알고싶다' 세월호와 205호 그리고 비밀문서 퍼즐 맞추기…세타(Θ)의 경고는 과연 무엇인가?

16일 밤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세월호 관련,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의문의 문서들과 선원 및 해경 내부 교신 내역을 방송 최초로 입수, ‘그날’의 비밀을 파헤친다. /사진=SBS 제공이미지 확대보기
16일 밤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세월호 관련,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의문의 문서들과 선원 및 해경 내부 교신 내역을 방송 최초로 입수, ‘그날’의 비밀을 파헤친다. /사진=SBS 제공
[글로벌이코노믹 김성은 기자] 세월호 침몰 2주기를 맞은 4월 16일 지난 2년간 공개되지 않은 새로운 비밀이 공개된다.

16일 밤 방송되는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세월호 관련,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의문의 문서들과 선원 및 해경 내부 교신 내역을 방송 최초로 입수, ‘그날’의 비밀을 파헤쳐본다.
지난 2014년 6월 22일 밤 11시 50분,진도 앞바다의 잠수부들이 44m 바다 밑 세월호에서 디지털 영상 장치(DVR)와 노트북 하나를 건져 올렸다.

오영중 변호사는 "연락이 급히 왔어요. 팽목항에서 쉬쉬하면서 뭔가 나왔는데 노트북하고 CCTV 관련된 게 올라왔다"고 밝혔다.

100% 외부 비공개, 가족과 해경 입회하에 진행된 기록 복원작업에도 DVR 속 CCTV는 사고 추정 시각에 끊겨 사고 원인 규명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세월호 직원의 것으로 추정되는 노트북에서는 의문의 문서 하나가 발견됐다. 문서는 세월호와 깊숙이 연관된 듯한 누군가를 가리키고 있었다. 공교롭게도 문서가 발견된 날 뉴스에서는 유병언 세모그룹 전 회장의 아들 유대균이 검거됐다는 소식만이 떠들썩하게 보도되었다.

한편 지난 3월 열린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제2차 청문회에서는 당시 청해진해운 제주지역본부장의 자필 메모가 공개되면서 ‘연안부두 205호실’에 대한 의문이 증폭됐다. 세월호와 205호실인 국정원은 어떤 관계가 있는 걸까.

2013년 3월 22일 ‘205호’와의 회의를 마친 청해진해운 관계자는 수첩을 꺼내 메모를 했다. 전직 청해진해운 제주지역본부장의 자필 메모에는 "소름끼치도록 황당한 일이, 세타(Θ)의 경고! 경고! 징계를 넘어 경고 수준 메시지!!”가 적혀 있었다. 하지만 그는 지난 3월 28일 열린 제2차 청문회에서 업무와 상관없는 개인적인 메모였다고 주장했다.
'소름끼치는 경고'를 보낸 세타(Θ)의 정체와 그 내용은 무엇이었을까. 왜 그는 업무상 참석한 회의 메모를 청문회에서 개인적인 메모라고 주장하는 것일까.

또 선원들은 청문회에서 ‘승객을 대기시키라’는 선사의 지시가 있었다고 최초 증언했다. 이때 선사와 탑승 선원 사이의 연락책은 바로 노트북의 주인이자 의문의 문서를 작성했던 故양대홍 사무장이었다. 세월호 접객 책임자이자 선내에서 구조에 힘쓰다 사망한 의인으로 알려진 故양대홍 사무장은 누구에게, 어떻게 대기 지시를 받았던 것일까.

배에 이상이 생기고 10여 분뒤 양사무장은 제주지역본부와 청해진 본사와 통화를 했고 안 해무이사와도 통화를 했다. 안 해무이사는 일본에서 세월호 배를 들여온 인물로 이후 내부 개조까지 맡았던 핵심인물이라고 한다. 양씨는 사고 당시 9시 42분에도 해무이사 안씨와 통화를 시도했고 이후 승객들을 대피시키다 양씨는 사망했다. 여기서 의문은 '양사무장이 어떻게 누구보다 먼저 해경이 도착하는 시간을 알고 있었는가'이다

세월호가 침몰한지 2년이 지났지만 해경에서 법정 처벌을 받은 것은 ‘업무 상 과실치사’로 3년 형을 선고받은 123정장이 유일하다. 123정은 당시 출동했던 하나 뿐인 해경구조선이었음에도 소극적인 구조활동으로, 도주한 선원들과 함께 집중 비난의 대상이 됐다.

무슨 이유로 123정은 다급한 구조의 순간, 사진을 6장이나 찍어 전송할 만큼 구조에 소극적이었을까. 이들만이 공유했던 명령이나 정보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16일 밤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지난 2년간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우리의 인식 변화를 다시 짚어보고 안전사회를 만드는 길을 함께 고민해본다.
김성은 기자 jade.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