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동부제철 동국제강 불황 3년 원가율 개선 '최고'…포스코 수익성 ‘톱’ 탈환

공유
0

동부제철 동국제강 불황 3년 원가율 개선 '최고'…포스코 수익성 ‘톱’ 탈환

철강 15개사 중 12곳 원가율 일제히 낮춰 ‘이익개선으로 연결’

[글로벌이코노믹 김종혁 기자] 동부제철과 동국제강이 철강산업 불황의 골이 깊었던 지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원가율을 가장 크게 낮춘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주요 15개 철강 기업 중 12곳이 원가를 일제히 낮췄고 이는 대부분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의 경우 지난해 수익성이 현대제철을 앞서 1위를 탈환했다.
본지가 주요 철강사 15곳의 지난 3년 매출 원가율을 조사한 결과(개별 실적 기준) 2014년 87.4%에서 지난해 84.2%로 3.2%포인트 낮아졌다.
<자료>금융감독원/스틸프라이스 정리이미지 확대보기
<자료>금융감독원/스틸프라이스 정리

이 같은 원가율 하락은 매출이 줄어든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지만 관리비를 줄이는 등 허리띠를 바짝 졸라맸기 때문이다. 실제 이 기간 매출은 61조1936억 원에서 54조4044억 원으로 14.2% 줄었다. 반면 원가절감 등의 노력으로 영업이익은 4조159억 원에서 4조6340억 원으로 15.4%나 증가했다. 영업이익률도 6.6%에서 8.8%로 2.3%p 높아지는 등 뚜렷한 수익성 개선이 나타났다.

기업별로 보면 15개 사 중 12곳이 일제히 원가율을 낮췄다. 특히 부실기업으로 지목됐던 동부제철과 동국제강이 원가율을 큰 폭으로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제철은 2014년 98.3%에 이르던 원가율이 지난해 87.0%로 11.3%p나 떨어졌다. 2014년 원가율이 100% 달하면서 당시 1071억 원의 영업적자를 봤지만 2015년과 2016년 760억 원, 941억 원의 이익을 실현 2년 연속 대폭적인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같은 기간 동국제강은 96.3%에서 87.7%로 8.6% 낮춰 동부제철에 이어 원가 개선 폭이 크게 나타났다. 영업이익도 2014년 670억 원의 적자에서 2015년과 2016년 1343억 원, 2103억 원으로 흑자 규모 점차 확대됐다.

한국철강은 지난 3년 원가율을 7.6%p 낮춰 뒤를 이었고 포스코강판과 동국산업이 5.6%p 개선돼 상위 5위권에 들었다. 이 외에 대한제강 5.3%p, 포스코 3.6%p, 하이스틸 2.2%p, 현대제철 1.2%p, 세아제강 0.7%p, 고려제강‧세아특수강 0.5% 등의 순으로 원가율 하락 폭이 컸다.

반면 휴스틸 세아베스틸 현대비앤지스틸 등 3곳은 원가율이 되레 높아졌다. 휴스틸은 3.1%p나 높아졌고 세아베스틸과 현대비앤지스틸은 1.6%p, 0.8%p씩 올라갔다.

이 같은 원가율 하락은 수익성 향상으로 연결됐다. 동부제철은 원가율에 이어 이익률 상승 폭도 가장 컸다. 2014년 -6.4%에서 작년 6.1%로 획기적으로 높아진 것이다. 동국제강은 -1.9%에서 4.7%로 끌어올렸다. 한국철강 역시 1.7%에 불과했던 이익률이 작년 8.0%로 높아졌다.

자료 : 금융감독원/스틸프라이스 정리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 금융감독원/스틸프라이스 정리

대한제강은 지난 3년 5.1%p의 상승 폭을 기록했다. 이어 포스코강판 4.1%p, 동국산업 3.9%p, 하이스틸 3.1%p, 포스코 2.8%p 등의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반면 현대제철은 포함한 7곳은 이익률이 되레 후퇴해 불황 여파를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휴스틸은 3.7%에서 0.2%로 3.5%p나 떨어졌다. 세아베스틸도 비슷한 폭인 3.0%p 낮아졌다. 현대비앤지스틸과 고려제강은 각각 1.3%, 1.0%p 떨어졌다. 세아특수강과 세아제강은 0.2%p, 현대제철은 0.1%p 소폭 하락해 사실상 선방했다.

한편 작년 기준 영업이익률 1위를 포스코로, 10.8%를 기록했다. 포스코는 2014년과 2015년 현대제철이 밀려 수익성 2위에 머물렀지만 작년에 1위를 탈환했고 업계 유일하게 두자릿수 이익률을 달성했다. 현대제철은 8.9%로 이익률 2위에 자리했고 한국철강은 8.0%로 3위에 올랐다. 동국산업과 세아특수강은 각각 7.0%, 6.3%를 기록, 수익성 5위권에 들어 강소기업의 면모를 자랑했다.

이미지 확대보기


김종혁 기자 jh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