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증권사 덩치 키우기 나섰지만…중소형사는 "지켜보자"

공유
1

증권사 덩치 키우기 나섰지만…중소형사는 "지켜보자"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최성해 기자] 초대형 IB시행 등으로 증권업계의 대형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가운데 중소형사들이 적극적으로 덩치 불리기에 시큰둥한 모습을 보여 대조적이다. 특히 중소형사들이 올해 전면 시행된 신NCR제도, 레버리지 규제로 입지가 좁아짐에도 불구하고 통큰 자본 확충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신NCR, 레버리지 차입 규제 전면 실시, 중소형사 된서리

회사별 채권보유액(2016년말) 단위:조원, %, 나이스신용평가이미지 확대보기
회사별 채권보유액(2016년말) 단위:조원, %, 나이스신용평가

당국의 대형화 정책에 따른 규제 강화에 직격탄을 맞은 중소형사들이 덩치 키우기에 소극적으로 나와 그 배경에 대한 궁금증을 낳고 있다.

이미 대형화 유도 차원에서 신NCR, 레버리지 차입 규제가 시행되고 상황. 특히 신NCR 비율의 경우 대형사는 대폭 상향된 반면 중소형 증권사들은 NCR 증가폭이 대부분 미미하며, 일부 회사는 NCR이 되레 하락하는 등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신NCR, 레버리지 차입 비율을 완화하는 유일한 수단인 자본 확충에 대해 중소형사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아 주목된다.

동부증권은 지난달 28일 공시를 통해 자기자본 확충 추진설과 관련해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나 현재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본 건과 관련하여 추후 구체적인 내용이 확정되는 시점 또는 6개월 이내에 재공시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공시의 경우 지난해 9월 자본확충설에 대해 답변 시한 규정대로 밝힌 것으로 새로운 내용은 없다.

동부증권도 자본 확충에 그다지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 동부증권 관계자는 “지난해 9월 자본확충설 조회 공시 관련 미확정기간이 되어 이를 다시 공시를 한 것”이라며 “특별히 새로운 내용이 있어 공시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한도 내에서 관리 “문제없다”,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계단식 자본 확충

자기자본 대비 채권비중 상위 7개사 비교 2016년말, 나이스신용평가이미지 확대보기
자기자본 대비 채권비중 상위 7개사 비교 2016년말, 나이스신용평가

자본 확충이 발등의 불로 떨어진 중소형 증권사도 적지 않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자기자본 대비 우발채무 비중이 높은 중소형사로 HMC투자증권, 교보증권, 하이투자증권 등을, 자기자본 대비 채권 비중 500% 초과로 금리 리스크 노출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중소형증권사로 하나금융투자, 신영증권, HMC투자증권, SK증권 등을 제시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들 증권사는 대부분 자본 확충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다.

하나금융투자 관계자는 “레버지지 규제 등은 규정 범위 이내에 있는 문제로 규정대로 리스크관리가 잘되고 있다”며 “자본 확충은 이들 규제를 피하기 위한 단순한 이익 문제보다 앞으로 증권업계 생존을 위해 덩치를 키워야 하는 장기적 과제”라고 말했다.

교보증권, HMC투자증권도 자본 확충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한편 이들 중소형사들이 자본을 확충하는 문제는 지금처럼 답보상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자본을 늘리는 만큼 수익성이 좋아져야 하는데 이들 중소형사의 대주주가 증권업 전망을 불투명하게 보며 증자를 꺼리고 있다”며 “저성장 국면에서 증권업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규모가 큰 계열사를 거느린 대주주 입장에서 증권사는 버리기도, 남을 주기도 아까운 계륵”이라며 “대규모 자본 확충보다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차원에서 지금처럼 현상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대규모 자본 확충 대신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시장상황에 맞춰 조금씩 덩치를 키울 것으로 보인다.

실제 SK증권은 지난달 이사회에서 최대 700억원 한도로 후순위채를 발행하기로 결의했다

동부증권도 지난 3월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총 800억원 규모로 이 가운데 동부화재해상보험이 280억원을, 기관투자자들이 520억원을 소화했다. 이번 후순위채 발행으로 200% 초반대인 신NCR 비율이 200% 후반대로 올라 규제 자본의 커트라인으로부터 한숨을 돌리게 됐다.

한 중소형사 관계자는 “자본 확충을 꼭 해야 하는 등 당장 급한 것은 아니다”며 “대주주도 상황에 따라 차근차근 자본을 늘리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성해 기자 bada@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