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미 FTA 재협상을 바라보는 석유화학 업계의 두 가지 시선

공유
2

한미 FTA 재협상을 바라보는 석유화학 업계의 두 가지 시선

미국 트럼프 정부가 한미 FTA 재협상을 연일 언급하면서 향후 FTA 재협상 시 석유화학 업계에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된다.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트럼프 정부가 한미 FTA 재협상을 연일 언급하면서 향후 FTA 재협상 시 석유화학 업계에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된다.
[글로벌이코노믹 오소영 기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논의가 불거지는 가운데 석유화학 업계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린다. 일단 업계는 파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대미 수출 비중이 높지 않은 데다 수출 상위 품목 중 관세를 부과하는 제품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미국이 중국산 소비재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경우 대중 수출이 줄어 이로 인한 간접적인 피해가 예측된다. 대미 수출품 중 무관세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24일 통상당국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한미 FTA 재협상을 이야기하며 보호무역주의의 고삐를 죄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첫 통화에서 ‘한미 FTA 재협상’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힐러리 클린턴에 의해 만들어진 한미 FTA는 끔찍한 협상”이라며 “한국 정부에 재협상 방침을 통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FTA 재협상이 실행으로 옮겨지면 이로 인한 손실이 크지 않을 거라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우선 석유화학제품의 대미 수출 비중이 높지 않다. 한국석유화학협회에 따르면 대미 석유화학 수출액은 지난해 기준 17억3900만달러에 불과하다. 가장 큰 시장으로 꼽히는 중국(165억2000만달러)의 10% 정도이다.

화학업계의 맏형인 LG화학은 북미 수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5% 정도다. LG화학은 미 정부가 반덤핑 예비 관세 부과 판정을 내린 가소제와 합성고무(SBR)를 생산하는 업체이다.

앞서 미 상무부는 한국에서 가소제를 제조·수출하는 모든 업체에 4.47%의 반덤핑 예비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었다. 아울러 한국에서 수입하는 SBR에 반덤핑관세 예비판정을 내린 바 있다.

합성고무를 주력 제품으로 수출하는 금호석유화학의 반응 역시 다르지 않았다. 금호석유화학 관계자는 “SBR의 북미 수출 비중이 2% 안팎이라 영향이 크지 않다”며 “지금 국제 무역위원회에 답변서를 제출하고 결과를 기다리는 중”이라고 말했다.

대미 석유화학제품 수출 상위 10개품목. 이미지 확대보기
대미 석유화학제품 수출 상위 10개품목.

수출 10대 품목 가운데 관세 제품이 드문 점 역시 한미 FTA 재협상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인 이유다. 한국무역협회(KOTRA)에 따르면 벤젠과 고부가합성수지(ABS) 등이 상위 10대 품목으로 꼽힌다. 이중 ABS와 폴리에스테르(PET)를 제외하고 나머지가 무관세 제품이다.

특히 대미 수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벤젠 역시 한미 FTA와 무관하게 관세가 매겨지지 않는다.

한국석유화학협회 관계자는 “미국과 거리가 멀어 대미 수출 비중이 높지 않았고 여러 품목이 무관세로 수출되고 있어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미국이 중국산 소비재에 관세를 부과하면 국내 업계의 대중 수출이 줄 수 있다.

조용원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이 발표한 보고서 ‘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한국 석유화학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미국이 중국산 신발에 부과하는 관세를 현행보다 45% 인상하면 중국산 최종재의 대미 수출량은 2% 감소한다. 그 결과 국산 합성고무 제품의 대중 수출량이 0.7% 줄 것으로 예측된다.

조용원 연구위원은 "신발과 플라스틱 등 미국에서 많이 소비되는 중국산 제품에 관세가 인상되면 중국은 생산량을 줄이게 된다"며 "중국이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원재료를 제공하는 국내 업계 역시 타격을 입게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정부가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일부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우려도 제기된다.

석유화학협회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가 벤젠 등 무관세 분야에 관세를 물리면 국내 업계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며 “트럼프 정부가 워낙 예측불가능 해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오소영 기자 o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