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경연, ‘평창올림픽=흑자올림픽’ 위해 동계아시안게임 등 사후 전략 필요

공유
0

한경연, ‘평창올림픽=흑자올림픽’ 위해 동계아시안게임 등 사후 전략 필요

동계올림픽 개최 후 개최국 수출 23.5%, 총 교역량 30.9% 증가…사후 올림픽 시설 재활용 방안 마련 시급

올림픽 경기 개최 관련 예산 대비 지출 비율. 표=한경연이미지 확대보기
올림픽 경기 개최 관련 예산 대비 지출 비율. 표=한경연
[글로벌이코노믹 길소연 기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흑자올림픽으로 만들려면 사후 수익 극대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부분 올림픽이 당초 예상보다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대회 이후 막대한 유지 비용으로 사실상 적자올림픽으로 전락하기 때문이다.
20일 한국경제연구원은 ‘성공한 올림픽과 실패한 올림픽-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함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올림픽 효과 교역량 30.9% 증가…초과 지출로 사실상 '적자'


한경연이 최근 전 세계 무역자료를 활용해 1950년 이후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10개국의 올림픽 개최 전후 수출, 수입, 총 교역량을 비개최국과 비교하는 회귀 분석을 진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개최국의 수출과 총 교역량은 동계올림픽 개최 전보다 약 23.5%와 30.9% 각각 증가했다. 이는 자율무역협정(FTA) 등 지역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무역 증진 효과와 비슷하거나 다소 웃도는 수치다.

문제는 올림픽이 무역 증진처럼 긍정적 경제 효과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올핌픽 개최 관련 예산을 감안할 때 하계올림픽은 평균 76%, 동계올림픽은 평균 42%가량 비용이 초과돼 적자로 이어졌다는 것.
올림픽 개최 이후 경기장 등 관련 시설물이 애물단지(While Elephant)로 전락한데 따른 결과다.

실제로 일본은 1998년 열린 나가노 동계올림픽 이후 사후 활용도 제고를 위해 올림픽 주경기장은 야구장으로, 아이스하키 경기장은 수영장 등 생활체육시설로 전환했다.
그러나 40만명 수준의 나가노 인구로는 채산성을 맞추기 어려웠다. 나가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방문객의 편의와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경·나가노 간 신간센 고속철도를 건설했으나 오히려 투숙 관광객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2014년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 역시 당초 계획한 예산의 3배가량(289%)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스하키 경기장인 볼쇼이 아이스돔 유지를 위해서만 하루 1500만원이 소요됐고 소치 올림픽 시설물 소유·운영 회사는 도산 위기에 빠졌다.

◇‘평창올림픽=흑자올림픽’ 위해 동계아시안게임 유치 필요

한경연은 평창올림픽의 무역 증진 효과를 지속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시설물의 사후적 재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미 동계 스포츠 관광지와 시설물이 존재하는 북미와 유럽이 아닌 동남아와 중동 관광객 유치에 집중하고, 봅슬레이, 스키 점프 등 특수목적 경기장 등 동계 올림픽 시설물의 실질적님 재활용 방안으로 동계아시안게임을 유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윤상호 연구위원은 "평창 동계올림픽이 50일 가량 남지 않은 상황에서 시설물 건축 등을 위한 비용은 이제 매몰비용으로 받아들이고, 사후 올림픽 시설물 활용과 관광객 유치에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방 재정의 지속적인 부담을 초래할 수 있는 올림픽 시설물의 유지·보수비용 마련을 위한 수익 구조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길소연 기자 k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