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박동욱 현대건설 사장의 깊은 고민...반포 재건축사업 어쩌지?

공유
27

박동욱 현대건설 사장의 깊은 고민...반포 재건축사업 어쩌지?

박동욱 현대건설 사장.
박동욱 현대건설 사장.
[글로벌이코노믹 한지명 백승재 기자]
지난해 현대건설 최대 실적은 반포주공1단지 재건축사업 수주였다. 그러나 현재 반포주공1단지 재건축사업은 박동욱 사장의 큰 ‘고민거리’가 됐다. 금품살포 의혹과 관련한 압수수색, 3조원에 육박하는 넘는 천문학적 금액을 조달해야 하는 부담이 그의 어깨를 무겁게 한다.

지난해 9월 현대건설은 ‘단군 이래 최대규모 재건축사업’으로 불린 서울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1·2·4주구) 수주전에서 GS건설을 꺾고 승자가 됐다.

총사업비 10조원에 달하는 반포주공1단지 재건축 사업을 수주하기 위해 현대건설과 GS건설은 파격적인 조건들을 내걸었다. 우열을 가릴 수 없을 만큼 매혹적인 두 건설사의 조건을 두고 조합이 현대건설의 손을 들어준 데는 ‘이주비 대여’관련 조항의 영향이 컸다.

GS건설은 당시 이주 대여금을 조합원 집단 담보대출 기준으로 차입하고 대여총액 및 부족분 이주비 대여는 기본 이주비대출 금융기관의 대출조건에 따르겠다고 입찰제안서에 명시했다. 8·2 부동산대책으로 인한 LTV 부족분 20%는 무이자 대여한 후 입주 시 정산하기로 했다.

현대건설은 건설업자 대여 혹은 조합이 금융기관으로 직접 차입해 이주 대여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제안했다. 대여총액 및 부족분 이주비 대여는 향후 조합원 종전자산평가 총액의 60%를 입주 시 상환하는 조건을 내걸었다.

이 과정에서 현대건설은 조합원 담보대출 40%에 현대건설이 신용조달을 통해 나머지 20%를 채워줄 것이라 약속했다.

현대건설이 제안한 이주비 규모는 총 1조1000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가구당 5억원의 무이자 이사비 총액까지 더해지면 최대 2조1500억원까지 불어난다.

여기에 조합과 갈등으로 착공이 지연되고 있는 서초구 반포동 삼호가든3차에서도 이와 같은 자금조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현대건설의 재무적 타격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삼호가든3차의 이주비 조달 비용까지 합치면 현대건설이 반포 재건축사업에만 3조원에 육박하는 자금을 조달해야할 것으로 관측한다.

현대건설이 지난 4월 2일 공시한 사업보고서를 분석해보면 현대건설이 당장 현금화할 수 있는 돈은 1조2000억원이다. 1조원이 훌쩍 넘는 돈을 추가로 조달해야하는 상황이다.

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2018년 3월말 현대건설의 회사 제시 기준 ‘기준 PF우발채무 잔액’은 9953억원(재개발/재건축 등 제외, 2017년 말 자기자본 대비 0.2배)이다. 현대건설이 사실상 유동할 수 있는 현금이 거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권으로부터의 대출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시중은행들의 부동산 관련 대출에 예의주시하고 있어 금융사들이 적극적으로 대출에 나서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미 금융당국은 추가이주비 대출 20%에 대해 LTV 40%를 초과하는 부분은 어떠한 경우라도 승인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마지막 방법은 모회사인 현대차그룹의 도움을 받는 것이지만 현재 10조원이 투입된 한전부지 신사옥 GBC 건립사업 등으로 현대차그룹의 상황도 녹록치 않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현대건설이 재무적 안정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단기적으로 수조원이 빠져나가는 상황은 결코 좋게 볼 수 없다”며 “이 정도 규모면 재건축으로 현대건설이 이득은 커녕 손해를 입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그룹 재무통으로 불렸던 박동욱 사장이 수조원의 리스크를 안으면서까지 반포동 재건축사업을 끌고 가지 않을 수 있다는 시각도 조심스레 내비친다.

최근 재건축 금품살포 의혹과 관련한 압수수색으로 박 사장의 주름은 깊어졌다. 재건축사업 자체가 재무리스크로 뒤바뀔 수 있는 상황에서 박 사장의 행보가 주목된다.


한지명, 백승재 기자 tequiro0713@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