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달리는 세계 수소시장, 한국은 이제 ‘걸음마’

공유
2

달리는 세계 수소시장, 한국은 이제 ‘걸음마’

미국·일본·독일 등 선진국 이미 수소경제 구축 혹은 조성단계
업계선 국내 인프라 미흡 지적… "지금이라도 지원 대폭 늘려야"

현대자동차에서 개발한 수소자동차 넥쏘. /사진=현대자동차이미지 확대보기
현대자동차에서 개발한 수소자동차 넥쏘. /사진=현대자동차
[글로벌이코노믹 백승재 기자] 세계는 달리고 있는데 한국은 이제 겨우 걸음마 단계다. 바로 '수소경제' 얘기다. 주요 선진국들이 수소경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앞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현실 적용은 초보 단계에 머물고 있다. 업계는 정부가 산업계와 보폭을 맞추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이웃나라 일본은 2014년 ‘수소 2030로드맵’을 발표하고 수소도시를 구축 중이다. 수소도시는 수소의 생산부터 이송, 저장, 활용까지 전 주기에 걸쳐 수소생태계가 구축된 도시를 뜻한다.
일본 기타큐슈(北九州)시는 시가지를 통과하는 파이프라인으로 일반 가정과 상업시설, 공공시설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타운 프로젝트’를 2011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기타큐슈시는 또 수소전기차 외 운송수단, 가정용 연료전지 기술 연구에 정부가 전방위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미국은 미국에너지부(DOE)와 캘리포니아 주(州) 정부 주도로 수소도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미 당국이 ‘Wind2H2’로 명명한 이 프로젝트는 풍력단지가 생산한 전기로 수소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프로젝트다.

유럽에서는 독일이 수소산업을 이끌고 있다. 독일은 2002년부터 클린에너지 파트너십(CEP)을 설립해 수소에너지가 적합한 에너지 자원인 지를 검증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독일은 2006년 '수소 및 연료전지기술 국가 혁신 프로그램'(NIP)를 통해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에 돌입해 내년까지 NIP 2단계에 2억1000유로(약 2524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영국 역시 인구 8만 명이 사는 리즈(Leeds)시의 천연가스 배관망을 2030년까지 100%수소배관망으로 바꾸기 위해 2016년 7월 사업 타당성 조사를 벌였다. 호주는 지난해 9월 ‘수소로드맵’을 발표하고 수소도시 시범사업 지정절차에 착수했다.

세계 주요 국가들이 수소도시를 구축해 '수소경제'를 실천하고 있지만 한국은 겨우 이제 정책 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17일 발표한 ‘2019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2022년까지 교통과 난방 등에 주된 수소연료를 사용하는 ‘수소기반 도시’ 3곳을 시범 조성하는 게 골자다. 정부는 또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수소경제법’과 ‘수소안전법’ 등 관련 법안을 내년 중에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에 수소경제 연구개발(R&D)에 786억원을 투자하고 수소 충전소에 대한 민간 투자를 끌어오기 위해 내년 3월 셀프 충전 허용 방안을 마련하는 등 규제 개선에도 나설 계획이다.
그러나 관련업계는 정부가 세계적 수준인 국내 수소산업과 보폭을 맞추지 못하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대표적인 게 바로 수소차(車) 분야다. 현대자동차는 1998년 수소차 개발에 착수해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차 '투싼ix'를 출시했다. 현대자동차는 또 지난 3월 완충하면 609km를 주행할 수 있는 수소차 '넥쏘'를 선보였다. 넥쏘의 주행거리는 전 세계 수소차 가운데 가장 길다.

현대차 기술은 수소차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지만 국내 인프라가 미미해 보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 있는 수소충전소는 전국 9곳(서울 2곳) 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정부가 산업 발전 속도에 맞추지 못하고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소 업계 관계자는 “유럽 등 다른 나라 업체들이 수소차 기술 격차를 좁혀오고 있는데 정부가 그동안 너무 소극적인 정책을 폈다”면서 “수소연료전지와 관련해 국내 업체들은 세계적으로 우수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지원이 있어야 국내 기술력이 날개를 단다"고 꼬집었다.


백승재 기자 tequiro0713@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