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벼랑 끝에 선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엔진 결함 은폐·축소 '늑장 리콜'에 휘청

공유
4

벼랑 끝에 선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엔진 결함 은폐·축소 '늑장 리콜'에 휘청

국토부 “BMW 차량 결함 속이고 늑장리콜”...피해 보상 1800억원대 예상

국토부 “BMW 차량 결함 속이고 늑장리콜”...피해 보상 1800억원대 예상

국토부 “BMW 차량 결함 속이고 늑장리콜”...피해 보상 1800억원대 예상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이 지난 8월 1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 진행된 더불어민주당 BMW관련 긴급 간담회에 참석해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이 지난 8월 1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 진행된 더불어민주당 BMW관련 긴급 간담회에 참석해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김민구 기자] 글로벌 명차라는 독일 자동차업체 BMW의 체면이 말이 아니다.

숨기기에 급급했던 BMW의 ‘늑장 리콜’이 초래한 인과응보라는 따가운 질책도 쏟아진다.
BMW 화재 원인을 조사해온 민관합동조사단은 24일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냉각기 균열로 흘러나온 냉각수가 엔진오일과 섞여 흡기 다기관에 엉겨 붙어 500℃ 이상의 배기가스가 유입돼 불씨를 만들어 화재로 이어졌다고 결론 내렸다.

문제는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민관합동조사단은 BMW가 엔진결함에 따른 차량의 화재 위험을 미리 알고도 이를 은폐·축소하고 '늑장 리콜'했다고 발표했다.

BMW로서는 차량뿐만 아니라 회사 이미지마저 불타버린 셈이다.

조사단은 이미 이뤄진 리콜 조치가 충분하지 않아 추가리콜이 필요하고 다른 설계 결함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이에 따라 조사단은 BMW를 검찰에 고발하고 112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모든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한 흡기다기관 추가 리콜을 하기로 했다.
늑장 리콜과 결함 은폐 의혹으로 형사고발을 당하고 과징금을 부과 받는데다 최대 172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추가 리콜까지 떠안게 됐다.

‘불타는 자동차’라는 오명을 떠안은 BMW는 회사 신뢰도가 땅에 떨어진 데 그치지 않는다.

당장 내년 장사가 걱정된다.

일각에서는 BMW가 차량 리콜 충격에서 벗어나 내년부터 정상 영업을 하려던 계획을 세웠지만 이번 조사단 발표로 내년도 영업 전략에 빨간 불이 켜졌다고 지적한다.

회사가 벼랑 끝에 몰리고 있다는 지적을 우스갯소리로 넘길 수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BMW 한국법인 BMW코리아는 월별 신규 등록 대수가 화재 사태가 불거기지 전인 7월까지만 해도 4000여대 수준으로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메르세데스-벤츠와 쌍벽을 이뤘다.

그러나 차량 화재가 발생한 후 8월에 2383대로 반 토막이 나더니 11월까지도 2000여대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BMW코리아가 우려하는 대목은 현재 국내에서 팔리는 차량이 화재와 관련이 없는 새 모델이라고 강조하지만 고객들이 등을 돌리고 있다는 점이다.

추가리콜에 따른 회사 측 비용 부담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BMW코리아는 EGR 리콜을 끝냈거나 진행 중인 총 17만2000여대 차량에 대해 흡기다기관 리콜(점검 후 교체)을 추가로 진행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업계 관계자는 “흡기다기관 교체 비용은 개당 100만원 정도”라며 “17만2000여대가 모두 흡기다기관 교체 대상이 되면 BMW코리아가 최대 1720억원의 비용을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정부의 추가 조사를 거쳐 EGR 설계 결함까지 확인되면 추후 리콜 범위가 더욱 커질 가능성도 있다.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면서 혼란의 중심에 서 있는 김효준(61) BMW코리아 회장 거취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김 회장은 지난 8월 국회 교통위원회에서 열린 ‘BMW 차량 화재 공청회’에 참석해 “만약 민관합동조사에서 BMW가 고의 은폐했다는 결과가 나오면 법적·사회적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올해 1월 BMW코리아 회장으로 승진해 2020년 2월까지 임기가 남아있다.

업계 관계자는 “검찰 고발로 김 회장을 비롯해 관련 임원들이 사기죄 혐의로 조사를 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김 회장이 이번 사태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민구 기자 gentlemink@g-enews.com